매일신문

북 유엔사 해체 전방위 압박

남북이 '남북 직접 대화' 전략으로 유엔사령부의 존재 의미를 희석시키는 가운데 북측이 또다시 유엔총회 제55차회의에서 유엔사 해체를 정식으로 요청했다.

북측은 지난 6월 말 1차 남북적십자회담 개최 장소를 결정할때 유엔사가 관장하고 있는 판문점 대신 고성 금강산호텔을 주장하며 "우리끼리"를 강조했고 지난 7월말 서울에서 열린 1차 장관급회담때 대표단이 판문점을 우회하면서 "아메리카인들이 있지 않느냐"고 지적한 바 있다.

북측은 또 지난 13일 남측의 남북 국방장관회담 개최 제의에 대한 답신을 군사정전위를 통해 보내면서 유엔사측을 제치고 직접 남측 관계자들과 대좌했다.

또 25일부터 열리는 국방장관회담 장소와 관련해서도 북측은 남측의 '제3국' 제안에 대해 '제주도'안을 전격 제시했고 남측도 이를 수락함으로써 '남북 직접 대화'원칙과 '유엔사 기피' 원칙이 동시에 관철됐다.

북측은 이어 유엔총회 제55차 회의에서 "조선반도에서 북남공동선언이 순조롭게 이행되고 있다"며 "이러한 고무적인 과정에 부합되게 유엔도 냉전의 유물인 유엔군사령부를 해체하기 위한 실천적 조치를 강구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북측은 또 작년 10월 미군 유해를 미국에 전달할때도 과거와 달리 유엔사를 거치지 않고 직접 미 공군기가 북한에 들어가 유해를 실어가도록 하는 전례를 남긴 바있다.

북측은 그러나 한국 주둔 유엔군사령부 해체가 미국과의 적대관계 청산 및 관계개선과 병행하는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유엔총회에서 북측 리형철 유엔주재 대사가 "조미 조일 사이에 적대관계만 해소되면 동북아시아에는 새롭고 건전한 국제관계가 수립되게 될 것"이라고 지적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