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막강 양궁의 비결은

첫 공식 국제대회인 78년 방콕아시안게임 참가이후 한국 여자 궁사들은 20여년간 세계 최강으로 군림해왔다.

양궁 12개 전 종목에서 세계 최고 기록을 보유하고 있는 여자 궁사들은 올림픽개인전 5연패와 단체전 4연패라는 상상을 초월하는 위업을 이뤄놓았다.

전문가들은 한국 여자 궁사들이 20년간 세계 최강으로 군림할 수 있었던 이유로 끊임없는 훈련과 전폭적인 투자를 꼽고 있다.

40여년의 짧은 역사속에서도 세계 무대에서 '무적함대'로 거듭난 이유로는 의외로 단순한 비결.

그러나 한국 양궁의 시스템은 국내 다른 종목에서 비슷한 사례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독특하다.

비인기종목 중에서 비교적 선수층이 두텁다는 평을 듣고 있는 양궁에서 태극 마크를 다는 것은 '낙타가 바늘 구멍 들어가기'처럼 어렵다.

일단 국가대표가 됐다하더라도 매 대회마다 예외없이 성적순으로 대표팀을 개편하는 제도가 정착돼 있어 연습을 게을리하면 후배들에게 금세 태극마크를 빼앗기게 된다.

'지옥훈련'이라고 일컫는 7차의 시드니올림픽 대표선발전에서 세계랭킹 1위 이은경이 탈락한 것도 한국 양궁의 저력을 방증하는 대목이다.

또한 비인기종목으로서는 이례적인 협회의 전폭적인 지원도 지금의 한국 양궁을 탄생시킨 주역이다.

협회 명예회장인 정몽구 현대자동차 회장은 지금까지 120억원을 투자, 대표선수들이 부족함없이 훈련하도록 지원해왔다.

양궁 유망주들이 어릴때부터 국제대회에 출전, 경험을 쌓아 정상급 선수로 성장할 수 있는 것도 모두 재정적인 뒷받침이 있기 때문에 가능했다는 분석이다.

새 천년 첫 올림픽에서 20세기의 영광을 이어나간 한국 여자 양궁은 21세기에도 세계 정상으로 군림할 전망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