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200년만에 진경산수 되살아날까

조선시대 후기의 화가 겸재 정 선(1676~1759)은 초기시절 중국 화풍을 철저히 베껴 그리는 방식으로 그림 수업을 쌓았다. 이후 그는 중국 북방화법의 선묘와 남방화법의 묵법을 이상적으로 조화시켜 골산을 양으로, 토산을 음으로 표현,음양조화의 원리에 맞춘 화면 구성으로 조선 고유의 진경산수화를 창안,완성시켰다. 정 선이 살았던 숙종,영조 시대와 정조시대까지는 실학이 융성한 시기였지만 한편으로 성리학이 독자적 학문체계를 갖춰 예술에 반영됐으며 정 선의 진경산수화는 이러한 시대적.문화적 배경의 소산이라 할 수 있다.

당시 조선에는 중국의 명나라가 멸망한 후 '세계의 중심이 조선'이라는 사상이 싹텄으며 이러한 분위기는 성리학의 고유 이념을 바탕으로 우리 산천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려는 화풍을 완성, 문예부흥의 정점을 이루게 된다. 정 선에서 비롯된 진경산수화는 심사정,강세황,최 북에 이어 김홍도의 풍속화를 낳으면서 더욱 발전하며 이 시기는 미술뿐만 아니라 판소리, 김만중의 국문소설, 이병연의 진경시, 동국진체 등의 글씨 등 '진경시대'의 찬란한 문화를 꽃피운다.

그러나 조선 말기에 접어들어 문화가 쇠퇴하면서 진경산수화도 명맥이 다하는 현상을 보이게 된다. 조선의 멸망, 일제 강점 시기와 해방을 거치면서 서양의 근.현대 미술이 유입됨에 따라 전통미술이 설 자리는 더욱 좁아지게 된다. 더구나 최근의 미술 사조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동양화,한국화가 서양화와 닮아가면서 정체성이 모호한 상태에까지 이르고 있다. 국내 미술평단 일각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매우 개탄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4일부터 19일까지 공산갤러리(053-984-0289)에서 '김현철의 진경산수화전'이 열리게 돼 매우 주목되고 있다. 경북 김천 출신으로 유서깊은 간송미술관 연구원인 그는 지난 86년 서울대 회화과, 89년 서울대 대학원 동양화과를 졸업하면서 20년 가까이 진경산수화를 연구해 온 작가이다. 그가 몸담고 있는 간송미술관은 전통미술의 부흥을 목적으로 최완수 연구실장이 20여년간 유망한 미술학도들을 뽑아 과거 정 선이 그랬듯이 '임모(臨摹)후 화풍 완성'의 방법으로 철저히 도제식 수련을 거치게 하는 민족미술연구소를 두고 있다.

김현철씨는 정 선의 그림을 임모한 작품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세 차례 개인전을 가졌고 이번에는 자신의 언어로 표현한 진경산수화를 선보인다. 지.필.묵으로 유려하면서도 세밀한 선, 여백의 조형미로 자연을 표현, 전통미술의 최고 경지를 다시 보는 듯 하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4일부터 19일까지 공산갤러리(053-984-0289)에서 '김현철의 진경산수화전'이 열리게 돼 매우 주목되고 있다. 경북 김천 출신으로 유서깊은 간송미술관 연구원인 그는 지난 86년 서울대 회화과, 89년 서울대 대학원 동양화과를 졸업하면서 20년 가까이 진경산수화를 연구해 온 작가이다. 그가 몸담고 있는 간송미술관은 전통미술의 부흥을 목적으로 최완수 연구실장이 20여년간 유망한 미술학도들을 뽑아 과거 정 선이 그랬듯이 '임모(臨摹)후 화풍 완성'의 방법으로 철저히 도제식 수련을 거치게 하는 민족미술연구소를 두고 있다. 김현철씨는 정 선의 그림을 임모한 작품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세 차례 개인전을 가졌고 이번에는 자신의 언어로 표현한 진경산수화를 선보인다. 지.필.묵으로 유려하면서도 세밀한 선, 여백의 조형미로 자연을 표현, 전통미술의 최고 경지를 다시 보는 듯 하다.

국내 화랑들과 평론가들은 전통미술을 지향하는 특징으로 인해 '간송파'라 불리우는 작가들이 이제 작품을 내놓을 시기가 됐으며 그들의 작품이 담고 있는 의미를 살려 대규모 기획전을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렇듯 이번 전시회는 간송미술관의 작가들이 오랜 수련을 거쳐 세상(?)에 본격적으로 나설 시점에서,지역 화랑에서 열리게 돼 더욱 눈길을 끈다.

김지석기자 jiseo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