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경기로 건설 일용직의 일자리 구하기가 '별따기'인 점을 노려 일부 용역업체들이 알선 수수료를 두배이상 가로채는 횡포를 부리고 있다.
이들 악덕 용역업체는 올 하반기부터 실직자가 다시 늘어나면서 대구시내 건설 일용직 용역업체에는 매일 7천∼8천여명이 몰리고 있는 반면 건설 현장은 크게 줄어들어 신청자의 절반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고 있는 점을 악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현재 대구시 각 구청에 등록한 건설 일용직 용역업체는 161개이지만 미등록까지 합치면 350여개에 이른다는 게 업계의 추정이다.
이들 용역업체는 직업안정법에 따라 건설 현장에 알선한 인부의 일당중 10%를 수수료로 받아야 하지만 일부에서 보통 20%이상을 가로채고 있다.
휴학중인 대학생 김모(21)씨는 지난달 북구의 한 용역업체에서 수수료 없이 3만2천원을 준다는 조건을 믿고 주택 건축현장에서 자재 정리, 등짐지기 등을 일주일간 하고 22만4천원을 받았다.
그러나 이 용역업체는 사업장으로부터 실제는 일당 4만원을 받아 8천원을 떼고 지불한 것으로 드러나 법정 수수료 4천원보다 사실상 두배의 수수료를 챙겼다는 것이다.
김씨는 "우연히 현장소장으로부터 일당이 4만원인 것을 듣고 용역업체에 항의를 해 보았지만 오히려 다른 데로 가보라고 큰 소리쳤다"며 "하루벌이를 생업으로 삼고 있는 사람들은 이런 사실을 알고도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일하고 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홍모(23·중구 동인동)씨는 "최근 한 용역업체에서 수수료 5천원을 뗀 3만5천을 받기로 하고 새로 짓는 절에서 하루동안 잡부로 일했는데 현장에서 주지스님이 5만원을 주기로 했다며 그대로 일당을 건네 용역업체가 속인 것을 알았다"고 말했다.
대구 ㅎ 용역업체의 윤모(32)씨는 "IMF직후에도 경기침체를 이유로 이같은 짓으로 큰 이익을 본 용역업체들이 있었다"며 "최근에 다시 피해자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 노동청 관계자는 "건설일용직 근로자의 경우 용역업체와 정식 고용관계를 맺은 것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수수료를 속이더라도 개인이 구청에 고발하지 않는 한 개입할 수 없다"며 "특히 상당수 미등록 용역업체에 대한 해당 구청의 적극적인 실태조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병고기자cb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