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6월의 인간 유전자 지도작성에 이어 식물 유전자 구조가 세계 최초로 규명돼 새로운 '녹색 혁명'의 가능성이 열렸다.
미국, 유럽연합(EU) 그리고 일본의 공공 및 민간부문 연구진으로 구성된 국제연구팀은 13일 애기장대(학명 Arabidopsis thaliana)의 유전자 지도를 세계 최초로 작성했다고 발표했다.
애기장대는 염색체가 5개밖에 없어 크기가 매우 작고 구조가 상대적으로 단순하지만 기본 물질 대사 과정이 다른 식물들과 거의 유사해 식물 유전자 연구용으로는 가장 많이 쓰이는 식물이다.
올해까지 애기장대 유전자 구조를 규명한다는 목표를 잡고 출범 4년째인 지난해에 염색체 2번과 4번의 배열을 규명해 낸 국제연구팀은 14일 발간될 영국의 과학전문 주간지 네이처에서 나머지 1번, 3번 그리고 5번 염색체의 배열을 밝힘으로써 애기장대의 유전자 지도 작성을 마무리지었다.
연구팀은 네이처에 기고한 연구 결과에서 2만5천498개의 유전자가 생명의 중요구성 요소인 1만1천개의 단백질 유형을 조절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꽃이 피는 식물인 '현화(顯花) 식물'은 진화론적 관점에서 보면 최근에 해당하는 기간인 약 2억년전 지구상에 출현했는데 이는 토양으로부터 영양분과 물을 빨아들이고 공기로부터 빛과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식물들의 생리학적 과정이 유사하고이러한 작용을 담당하는 유전자도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애기장대의 유전자 작용을 규명하는 것은 가축의 먹이가 되는 풀로부터 인간의 직접 식량이 되는 콩, 밀 등에 이르기까지 인류의 생존을 지탱하는 모든 식물을 꿰뚫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