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에서 열리고 있는 제4차 남북장관급 회담에서 북측이 지원을 요청했다는 50만㎾의 전력을 돈으로 환산하면 얼마나 될까.
15일 한국전력공사에 따르면 50만㎾ 용량의 석탄화력발전소를 지어주려면 7천억원 가량이 필요하며 100만㎾ 용량의 석탄화력발전소를 지어주는데에는 1조1천500억원 가량이 필요하다.
이는 물론 북측이 요청했다는 50만㎾라는게 연간 총량이 아니라 매순간 50만㎾를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을 전제했을 때의 얘기고 연료구입비용 등 기타 운영비용은 이 계산에서 제외됐다.
우리측이 북측의 요청을 받아들여 전력을 지원해줄 경우 그 방안으로 발전소를 새로 지어줄게 아니라 북한에 이미 세워져있는 발전소를 개·보수해주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다.
북한의 발전능력은 현재 690만∼739만㎾인 것으로 알려졌지만 한전에서는 설비노후화와 석탄생산 부진 등으로 인해 실제로는 200만㎾ 가량인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한전 관계자는 이와 관련, "발전소의 소모성 부품을 바꿔줄 경우 북한의 발전능력은 어느 정도 향상될 것"이라며 "하지만 일부 노후된 소모성 부품만 갈아주면 될지, 아니면 다른 것도 함께 전반적으로 손을 봐야할 지 여부는 북한에 가서 직접 조사를 해봐야만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북측에 전력을 지원하는 또 다른 방안으로 남측이 북한 특정 지역의 전력 공급을 맡기로 하고 남한의 여유전력을 이 지역에 송전해주는 방법도 가능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럴 경우 송전선로를 설치해야 하고 남북한의 전압이 다른 만큼 변압기도 설치해야 한다. 송전선로등을 설치하여 남한의 여유 전력을 북측에 공급해주는 경우 발전소를 지어주는 것보다 비용이 훨씬 적게 들어갈 뿐만 아니라 향후 필요시 언제든전력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하지만 우리 또한 전력 생산 여유가 그리 넉넉한 편이 아닌 실정이다. 따라서 △발전소를 건설해주는 방안과 △전력을 공급해주는 방안중 어느 쪽이 장래 민족경제에 균형있는 발전에 이바지 할 것인지를 충분히 주도면밀하게 검토해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전 관계자는 "발전소를 건설해 줄 경우 드는 비용은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지만 개·보수와 송전은 조사 결과에 따라 소요 비용이 상당히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예측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