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건국 이래 양곡정책의 일관된 방향이었던"증산(增産) 정책을 내년부터 포기한다.
최도일(崔燾一) 농림부 식량생산국장은 25일 "5년 연속 풍작이 이뤄지면서 내년쌀 재고량이 적정선을 훨씬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쌀 소비량이 계속 감소하는 추세를 감안, 양곡정책의 방향을 바꿀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향후 양정 방향은 미질(米質)을 우선시하면서 소비자가 선호하는 쌀을 생산하는데 정책의 무게가 실려질 것으로 보인다.
품종과 산지를 차별화할 수 있도록 수매제도를 보완하고 우수 품종 개발, 종자공급, 친환경농업 지원확대 등을 통해 고품질 쌀 생산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증산정책은 땅이 좁고 인구가 많은 우리나라 현실에서 건국이래 포기할 수 없는 양정 원칙이었다.
그러나 1인당 쌀 소비량은 96년 104.9㎏에서 99년 96.9㎏으로 크게 줄어드는 반면 5년째 계속된 풍작으로 내년 양곡재고가 적정선(600만∼800만섬)을 훨씬 넘어선 1천100만섬 정도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쌀을 비축, 보관하고 있는 민간 미곡종합처리장(RPC)의 경영이 악화되고 있고 쌀 생산농가의 어려움도 가중되고 있다.
최 국장은 "96년에는 쌀 재고량이 169만섬까지 떨어진 적도 있었고 남북 대치상태의 특수한 여건을 감안할 때 안정적인 쌀 재고량 확보는 필수적"이라면서도 "식량안보적 측면에서 쌀에 대한 안정성은 확보하고 있다고 판단된 만큼 효율적인양정수행을 위해 방향 전환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