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최근 일각에서 흘러나온 자민련 김종필 명예총재의 '총리 복귀설'에 잔뜩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최근 민주당과 자민련의 합당을 골간으로 한 정계개편설이 일단 수그러든 상황에서 그 대안으로 'JP 총리설'이 계속 거론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소여(小與)'의 한계를 절감하고 있는 여권핵심부가 민주-자민련의 합당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DJP' 공조를 복원시킬 수 있는 길은 JP에게 총리직을 다시 맡겨 공동정부 출범 당시로 되돌아갈 수 밖에 없다는 논리에 토대를 두고 있다.
실제 민국당 김윤환 대표는 "난조를 보이고 있는 현정국의 안정을 위해서는 JP가 다시 총리를 맡는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렇게 되면 현재 JP와 결별, 딴살림을 차린 김용환 한국신당 중앙집행위원장의 자민련 복귀도 명분과 동인(動因)을 갖게될 것으로 김 대표는 분석한다.
한나라당 일부 핵심당직자들도 25일 "여권이 자민련의 협조를 얻으려면 JP의 마음을 돌릴 수 있는 '카드'가 필요한데 현재로선 JP에게 총리자리를 주는 것 외엔 대안이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이회창 총재 측근들은 내년초로 예상되는 'DJP' 회동 때 이 문제가 거론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 향후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그러나 이같은 'JP 총리설'은 그야말로 '설'로 끝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김대중 대통령이 국정쇄신을 위해 민주당 지도부를 새로운 '컬러'로 일신한 마당에 보수색채가 강한 JP를 총리직에 다시 앉힐 경우 모양새가 이상하고 여론의 역풍을 맞게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회창 총재의 한 측근은 "만약 김 대통령이 그런 결정을 내린다면 '장고끝 악수(惡手)'가 될 것"이라고 단언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