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은행파업 정부대책 실효성 없어고객혼란 가중, 中企 연쇄도산 우려

국민.주택은행 파업대책으로 내놓은 정부의 각종 비상대책이 현실성이 없어 실제 현장에서 제대로 먹혀들지 않고 있으며 고객 불편 및 혼란만 가중되고 있다.

특히 중소기업, 소상인 등은 어음결제나 대출 같은 업무를 제대로 보지 못해 심각한 연말 자금난을 겪고 있으며 이에 따른 연쇄도산마저 우려되고 있다.

정부는 26일 파업 불편을 덜기 위해 국민.주택은행 거점점포 운영, 한빛.기업.신한은행에서 예금 대지급, 타행이용수수료 면제 등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대구.경북지역 거점점포로 발표된 국민은행 대구 남산동지점, 주택은행 대구지점 등은 이날 오전 현재 점포 문도 열지 못한 채 자동화기기를 통한 업무만 간신히 보고 있다.

주택은행 대구지점을 찾은 이모(60.여)씨는 "상인지점에 갔더니 대구지점으로 가면 된다고 해서 이곳까지 왔는데 문은 닫혀 있고 안내문도 하나 없다"며 "상을 당해 돈을 찾아 서울로 가야 하는데 어떡하면 되냐"고 불만을 털어놓았다.

두 은행이 통합점포 안내용으로 운영한다고 밝힌 전화도 통화중이거나 자동녹음 안내만 나올 뿐 직원연결은 되지않고 있다.

농협, 기업은행 직원이 두 은행 영업점 업무를 지원토록 하는 방안은 아예 무산됐으며 농협 직원이 국민은행 어음결제업무를 대신하는 방안도 농협 노조측 반발로 이뤄지지 못했다. 농협 대구지역본부는 정부 지시에 따라 5명을 금융결제원에 파견할 계획이었으나 노조 반대로 보내지 못했다.

한빛.기업.신한은행에는 예금을 대지급한다는 발표에 따라 고객들의 문의가 빗발치고 있으나 이에 필요한 전산시스템이 언제 마련될지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는 실정이다.

기업은행 대구.경북지역본부 관계자는 "파업중인 두 은행 전산담당자들이 협력해주지 않아 전산작업이 언제 완료될지 서울 본점의 전산부도 모른다는 답을 들었다"며 "지점마다 국민.주택은행 예금을 찾을 수 있는지 묻는 고객 전화가 쏟아져 곤욕을 치르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특히 기업고객들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신용장 개설이나 매입 같은 수출입업무나 어음업무가 지연돼 예기치 못한 도산우려마저 높다는 것. 대출업무도 중단돼 자금난에 시달리고 있다. 국민은행 대구기업금융지점 관계자는 진행중이던 대출업무가 중단돼 자금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기업들의 호소가 잇따르고 있다고 말했다.

이상훈기자 azzza@imaeil.com

은행파업, 고객대처 요령

금융감독원과 국민·주택은행은 거점점포를 운영하고 신한, 기업, 한빛은행이 두 은행 거래고객의 예금을 대지급토록 하는 등 대책을 마련했으나 고객의 불편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두 은행 거래고객들의 불편을 덜 수 있는 행동요령을 소개했다.

▲예금을 인출할 때= 현금카드를 소지한 고객은 되도록이면 국민·주택은행 영업점 인근의 다른 은행 현금인출기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두 은행은 노조 파업기간에 타행 현금인출기 사용에 따른 수수료를 환불하는 등의 고객 불편 최소화 방안을 마련했다.

통장으로 거래하거나 현금인출기로는 불가능한 거액 현금의 출금이 필요한 고객은 해당은행의 거점점포를 이용해야 한다. 또 통장과 인감, 신분증(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을 지참하고 신한, 기업, 한빛은행 영업점에서 예금을 찾을 수 있지만 시행시기는 빨라야 26일 오후가 될 전망이어서 사전에 이들 3개 은행 영업점에 문의한 뒤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음할인 등 소액대출을 원할 때= 인근의 다른 은행 창구를 이용하고 애로사항이 있는 경우 금감원 대책반(☎02-3771-5533∼34, 5537∼38)에 협의하거나 산업은행 및 기업은행 영업창구에서 상담하면 최대한 협조를 구할 수 있다고 금감원은 설명하고 있다.

▲주택채권 매입을 원할 때= 주택은행 각 지역본부 및 농협중앙회의 대행창구를 이용하면 된다. 금감원은 이와함께 거래고객 불편 완화를 위해 두 은행과 타행간의 타행환 수수료를 면제하고 기일도래 대출금에 대한 연체료 부과를 면제하며 두 은행 인근 타행 영업시간을 연장하고 어음교환 지연에 따른 부도를 유예하는 등의 조치를 취한 만큼 고객들은 이같은 사실을 주지, 불필요하게 동요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