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선수협 사태 대치 심화

프로야구 선수협의회 파동이 정부의 대화 촉구에도 불구하고 선수들이 훈련을 거부하고 구단도 실무를 거부하고 나서는 등 대결이 심화되고 있다.

1박2일간의 워크숍을 마친 선수협의회가 27일 단체훈련 거부를 공식 결의하자구단측이 단장회의를 통해 내년 시즌에 대비한 실무작업을 중단하겠다고 밝혀 '선수협 파동'은 파국을 향해 줄달음치고 있는 양상이다.

워크숍을 통해 정신 무장과 결속력을 강화시킨 선수협은 이날 현 집행부를 인정하고 6명에 대한 방출 조치가 철회될 때까지 팀 합동 훈련을 거부하고 개인훈련만을실시하기로 했다.

선수협은 또 워크숍에 참석하지 않은 선수를 포함해 선수협 소속 218명이 모두행동을 통일해 사단법인 설립을 반드시 관철하겠다고 의지를 다졌다.

이에 대해 전날 사장단 회의에서 '야구활동 중지' 방안을 발표했던 8개 구단은이날 한국야구위원회(KBO)에서 단장 회의를 열고 구단 실무작업을 중단하기로 합의했다.

단장들은 선수협이 기존 집행부를 사퇴시키고 8개 구단 선수 대표들로 새 집행부를 구성하지 않을 경우 실무적 차원의 모든 업무를 중단하기로 결정, 현 선수협을인정하지않는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단장들은 선수들이 합동 훈련을 거부함에 따라 일차적으로 내년 시즌을 위한 장비 구입과 유니폼 제작, 해외전지훈련 계획 수립, 숙소 예약 등 모든 업무를 중단하는 방안을 사장단에 건의하기로 합의, 야구단 업무가 조만간 마비될 전망이다.

선수협 파문이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되면서 사회적인 문제로 비화될 조짐을 보이자 정부가 처음으로 양측에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을 촉구했으나 여전히 사태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문화관광부 이홍석 차관보는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선수협 파동은 구단과선수 모두 한 발씩 물러서 양보해야만 사태가 해결될 것"이라며 양측에 대화를 통한조속한 해결을 주문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