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이 27일 송년간담회에서 국민대화합과 관련, "큰 결심을 하고 있다"고 언급함에 따라 '결단'의 내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 대통령의 이러한 언급은 지역갈등 해소 및 국민 대화합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검토중이라는 점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여권 내부에서는 김 대통령의 '큰 결심'이 집권계층에 대한 과감한 인적 개편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여권의 한 고위관계자는 28일 "김 대통령의 '큰 결심'에는 인사의 공정성을 더욱 강화하는 방안도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도 "김 대통령의 언급은 향후 개각과 청와대비서실 개편 등 인사문제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본다"면서 "향후 각종 인사에 있어서 공정성을 확보하는데도 중점을 두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아직 시기는 유동적이지만 내년에 단행될 행정부 개편과 그 이후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각종 인사에 있어서 대대적인 쇄신이 이루어질 것임을 시사하는 대목이다.이와 관련, 여권 주변에서는 김 대통령이 민주당 김중권 대표체제를 출범시킨 의미를 되새겨봐야 한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당대표를 포함, 사무총장, 정책위의장, 지방자치위원장, 대변인, 대표비서실장 등 주요 당직에 모두 비호남인사를 배치한 인사 원칙과 의지가 행정부에도 상당부분 적용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권노갑 전 최고위원의 사퇴를 계기로 여권내 인적 개편의 물꼬가 트일 수도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동안 정부산하기관 임원급 인사에서 권 전 최고위원의 '역할'이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에서는 김 대통령의 '큰 결심'이 정계개편이나 정·부통령제 개헌 등 지역갈등 해소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으로 나타나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으나 이 가능성에는 고개를 흔드는 사람들이 많다.
정계개편은 여건이 성숙돼있지 않고, 정·부통령제 개헌도 대통령후보와 부통령후보의 지역기반을 달리함으로써 지역대결 구도를 희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현실적으로 야당이 반대하는 한 실현되기 어렵다는 분석에서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이에 대해 "정계개편이나 개헌 등은 김 대통령의 생각만으로 할 수 있는 성격의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