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외교부 긴급장관 주재 회의

대사급을 포함한 해외공관 직원의 비리가 잇따라 밝혀지자 외교부가 당혹감 속에 긴급 장관 주재회의를 여는 등 분주한 모습이다.

특히 지난해 초 주 과테말라 대사의 금품수수와 주 이스라엘 대사의 거액도박물의로 두명의 현직대사가 옷을 벗은지 1년도 되지 않아, 또 다시 감사원 특감과정에서 비리의혹으로 허방빈(許方彬) 주 리비아대사가 사직하고, 이모 전 주독공사가 보직해임된 사실이 알려지자 곤혹스런 표정이 역력하다.

또 이 과정에서 외교부가 이들의 비위나 징계사실을 대외에 감추려 했다는 지적까지 나오자 해명에 분주했다.

외교부는 9일 "해당국가와의 문제가 있어서 징계사실을 대외로 알리지 못했다"면서, 지난해 이후 해외공관 복무기강 확립을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문제가 계속 터진데 대해 "송구스럽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외교부는 허방빈 대사의 사직사실이 공표된 이날 오전 이정빈(李廷彬) 장관 주재로 긴급 간부회의를 열고, 해외공관 비위재발 방지대책을 논의했다.

외교부는 이에 따라 부처 훈령으로 '재외공무원 행동지침'을 만들어 서둘러 발표하는 한편 전 재외공관에 지침을 엄격히 준수하라는 긴급지시를 내려보냈다.

외교부 당국자는 최근의 잇단 비위발생에 대해 "재외공관들이 (본국과) 떨어져있는 등 요인으로 여러 문제가 없지 않은 것은 사실"이라면서 "(비위의 소지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런 일이 발생해 국민께 송구스럽다"고 말했다그러나 지난해 공관장 비위 발생 후에도 엄정한 기강 확립을 다짐했지만 여전히 문제가 발생했다는 점에서 이번 조치가 얼마나 실효성이 있을지는 지켜봐야 한다는지적도 있다.

한편 외교부는 허 대사 외에 이번 정기인사에서 4명의 공관장급이 임기를 채우지 못한 채 본부근무로 내정된 것과 관련, "전혀 다른 문제 때문이 아니며, 단지 이들이 통상 해외근무 기한인 4, 5년을 넘긴데다 원활한 인사교류를 위한 차원"이라고 해명에 주력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