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개각 연기 해도 소폭

오는 3월초로 예상됐던 전면 개각이 다소 연기되거나 개각폭이 상당히 좁아질 것이란 전망이 여권내에서 조심스럽게 일고 있다.

이같은 전망은 우선 이달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한과 다음달 김대중 대통령의 방미,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서울 답방을 위한 사전 조율 등 중요한 정치 일정들이 예정돼 있어 개각 타이밍을 잡는 것이 쉽지 않다는 현실론에 근거한다.

여기에다 김 대통령의 강한 정부론을 바탕으로 한 국정안정 계획이 제자리를 잡아가면서 내각이나 당 모두 자신감을 찾아가고 있는 것도 연기론의 배경이 되고 있다.

지난해와는 달리 김 대통령의 리더십에 대한 불신도 점차 낮아지고 있고 구조조정도 예정대로 2월말까지 계획대로 마무리지을 수 있다는 게 여권의 자체 판단이다. 말하자면 국정이 안정기조에 오르고 있어 지난해 지적됐던 개각 요인은 사라졌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여권의 한 고위관계자는 "김 대통령과 당에 대한 지지도는 크게 달라진 것은 없지만 당원들의 사기는 크게 오르고 있다. 아직도 집권세력에 대한 비판은 많지만 이렇게만 가면 민심을 되돌릴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기고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다 현 내각이 김 대통령이 국정수행 구상을 잘 실천에 옮기고 있는데다 이를 대체할 만한 새로운 인물을 구하기도 쉽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경제팀의 경우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 경질이 중론이었으나 올들어 금융시장을 포함한 경제전반이 비교적 안정세를 이어가고 있고 구조조정 마무리 이후 상시적 개혁체제로 전환하는데도 구조조정 추진 경험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또 교육부총리 역시 지난 '1.29보각(補閣)'을 통해 새로 발탁한 인물인 만큼 교체하는데는 무리가 많고 외교안보팀이나 사회.복지팀의 경우 당장 손대야 할 만큼 급한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같은 여권내의 의견들을 종합할 때 개각시기가 예상보다 늦어지고 개각폭도 당초 전망과는 달리 소폭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김 대통령이 취임 3주년을 맞아 새로운 출발의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는 부담을 전혀 떨칠 수 없다는 점과 DJP 공조 복원 이후 자민련에 대해 현실적인 반대급부를 줘야 한다는 점 등에서 대폭 개각의 가능성은 여전히 열려 있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정경훈기자 jgh0316@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