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시가 내년 아시아대학의 개교로 모두 13개의 대학이 밀집한 전국 최대의 학원도시로 발돋움하지만 대학과 자치단체는 공식적 대화창구조차 하나없이 따로 돌고 있다.
이로 인해 시민들은 "대학들이 노른자위만 차지해 지역발전에 오히려 걸리기만 한다"고 불만의 소리를 높이고 있고, 대학들은 "외국 대학도시의 지자체는 대학을 살리기 위해 단체장이 TV광고까지 나설 정도"라며 못마땅해 하고 있다.
현재 11개 대학에 교직원·학생이 12만5천명이고 2개 대학이 신설중인 경산시에는 시청에 대학 전담 부서는 물론 대학과의 공식 대화채널도 설치하지 않고, 각종 분쟁 발생이나 행사 주관시 해당 부서 실무자들이 일시적인 접촉을 갖는데 그치고 있다.
이로 인해 지자체와 대학간 상호이해와 발전을 위한 다양한 접촉은 고사하고 각종 분쟁 발생시'대학이 지역을 위해 한 게 뭐가 있냐' '경산시는 대학을 위해 한 게 뭐 있느냐'는 식의 감정대립만 되풀이하고 있다.
지난해 9월부터 불거진 영남대내 쓰레기장 사용기한 연장 문제도 6개월째 경산시와 영남대간 감정대립속에 해법을 찾지 못하고 서로 불만과 실망감을 보이고 있다지난 97년부터 경북도·경산시·영남대가 각 100억원씩 부담, 영남대내에 짓기로 했다가 영남대 사정으로 흐지부지 상태인 다목적 실내체육관 문제에 대해서도 주민들의 감정은 곱지 않다.
최근 영남대가 주최한 '대학과 지역사회의 바람직한 관계 정립에 관한 심포지움'도 경산시와 제대로 협의도 않고 대학이 독자적으로 끌고 나간 점, 대학들이 교내 각종 시설물을 시민에게 개방않는 점, 대학내 주차료 징수 등도 경산시와 대학간의 비협조적 사례이다.
이로 인해 경산시와 시민들의 대학에 대한 감정의 골은 갈수록 깊어져 "지역 중심지를 대학들이 차지하는 바람에 대학이 지역 발전에 되레 걸림돌이다. 대학 교직원과 학생 70~80%가 경산에 살지 않고 대구 등에서 다녀 교통만 혼잡해졌다"는 등 나쁜 여론이 돌고 있다.
대학들도 "대학 구성원들을 위한 저렴하고 쾌적한 주거 공간 마련과 교육 및 문화 시설 확충 등에 지자체가 손을 놓고 있다"는 등 불만이 높다.
영남대 최외출 교수는 "일본 팔왕자(八王子)시 등 대부분 대학 도시들은 3~5개의 대학들이 들어서 있지만 지자체는 대학 전담부서를 기본적으로 갖췄고, 많은 대화로 각종 갈등의 폭을 줄이고 있다. 일부 단체장은 지역 대학의 신입생 유치를 위해 TV 광고에 출연하는 등 대학에 아낌없는 지원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구·경북개발연구원의 한상훈 박사는"미국의 100여개 대학도시 역시 대학은 3,4개라도 협의체는 기본적으로 갖춰 각종 분쟁의 가교 역할을 한다. 대학은 직원 20~30%를 그 지역민들로 채용해 밑에서부터 대화 창구를 트고, 지자체는 대학에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아 교수들은 연구에만 전념, 지역 발전에 좋은 정보를 제공한다"고 전했다.
이창희기자 lch888@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12년 간 가능했던 언어치료사 시험 불가 대법 판결…사이버대 학생들 어떡하나
[속보] 윤 대통령 "모든 게 제 불찰, 진심 어린 사과"
한동훈 "이재명 혐의 잡스럽지만, 영향 크다…생중계해야"
홍준표 "TK 행정통합 주민투표 요구…방해에 불과"
안동시민들 절박한 외침 "지역이 사라진다! 역사속으로 없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