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비주류 중진들이 연일 당 운영 방식과 영남권 의존 대선전략 등을 비판하고 있으나 이회창 총재측은 마땅한 대책 마련을 못한채 속앓이만 하고 있다.
김덕룡 의원은 지난 22일 연세대 언론홍보대학원 초청 특강에서 이 총재를 "제왕적 총재"라고 비난하면서 정계개편을 위해 여권 인사들과 논의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같은 날 이부영 부총재도 영남권에 편향된 이 총재의 대선 전략에 반발했으며 이에 앞서 박근혜 부총재와 손학규 의원도 독단적인 당 운영 등에 제동을 걸었다김 의원은 특강에서 "정계개편 반대론자들은 지역주의에 편승하고 있어 현재의 정치구도가 깨지는 것을 바라지 않고 있다"고 비판하며 "김대중 대통령이 당적과 정권 재창출에 대한 집념을 포기하면 자연스런 정계개편이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부총재도 부산대 특강에서 "이 총재는 차기 대선에서 영남을 주요 지지기반으로 수호하고 그로부터 세력을 확대하는 역포위 전술을 구사하려는 의도를 보이고 있다"며 "이는 3김과 이 총재간에 전혀 다를 게 없다는 평가를 낳게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런 일련의 움직임에 대해 이 총재 측은 일단 대수롭지 않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으나 내심으론 당내 파장을 우려하며 고민하는 모습이다. 이들의 반발 기류가 계속될 경우 결국 이 총재의 당내 지도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특히 여권의 정계개편론에 동조하는 움직임이 당내에서 본격화될 경우 내분이 가시화될 것이란 점을 경계하지 않을 수 없다. 설상가상으로 이들이 탈당까지 감행할 경우 수도권을 중심으로 상당수 의원들이 동요할 수밖에 없다. 이와 관련, 정가에서는 여야 일부 개혁파 의원들이 합세하는 형식의 신당 창당설을 비롯한 각종 정계개편 시나리오도 난무하고 있다.
때문에 일벌백계식의 엄한 제재를 내려야 한다는 등 강경론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포용력 부족이라는 이 총재의 이미지와 나아가 대선 전략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점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
결국 뾰족한 대책을 세우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파문이 조기에 진화되기만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권철현 대변인이 비주류 행보에 대해 "노 코멘트"라고 언급을 자제하고 있는 데서도 엿볼 수 있다.
이 총재 한 측근은 "비주류 중진들이 당직 개편과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입지를 넓혀보겠다는 계산을 하고 있을 것"이라며 우려할 상황이 아님을 애써 강조했다.
서봉대기자 jinyoo@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