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유럽의 차세대 여객기 개발경쟁이 치열하다.지난해까지 차세대 여객기 개발은 '크기'경쟁이었다. 선수를 친 것은 유럽국가들로 공동투자해 설립한 에어버스가 20세기 항공기 시장의 주도권을 미국 보잉사에 내준 것을 반성, 'A-380 프로젝트'를 준비해왔다.
오는 2006년 싱가포르 항공사에 첫 취항할 A-380은 규모와 편의시설면에서 기존의 여객기 개념을 뛰어넘는다. 무려 555명의 탑승객을 태울 수 있고 칵테일바, 체육관, 카지노 등을 갖춰 여객기라기 보다 '날아다니는 호텔'로 부를 정도다. 세계 항공사들의 반응도 호의적이다. 현재 8개 항공사로부터 66대를 주문받았다. 대당 가격은 2억3천900만(3천220억)~2억6천300만달러(3천550억원) 수준.
현재 가장 큰 여객기인 747(400여석)기종을 보유한 보잉사도 에어버스의 공세에 위기의식을 느끼고 새로운 기종 개발에 나섰다. 보잉사는 기존 747 기종을 한 단계 높여 525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는 747-X를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이미 주도권을 에어버스에 뺏긴 상태여서 단 한 대도 주문이 들어오지 않을 정도로 시장의 반응은 싸늘했다.
결국 보잉사 CEO(최고경영자) 알랜 뮬랠리는 지난달 29일 747-X 개발포기를 공식선언했다. 하지만 보잉사는 '크기' 경쟁은 포기한 대신 '속도'로 맞섰다. 음속과 비슷한 속도(마하 0.95)로 나는 차세대 여객기 '소닉 크루저'로 에어버스의 A-380과 경쟁하기로 했다.
소닉 크루저는 탑승객이 100~300여명에 불과하지만 현재 가장 빠른 콩코드기(마하 0.8~0.85) 보다 훨씬 빠를 뿐 아니라 9천마일(1만4천km) 이상을 논스톱으로 운항할 수 있다. 게다가 빠른 이.착륙 및 음속에 가까운 운항으로 연료절감 효과가 커 경쟁력이 충분하다고 보잉측은 주장한다. 보잉측은 오는 2010년 소닉 크루저가 취항하면 시간에 쫓기면서도 안락한 여행을 원하는 비즈니스맨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보잉사의 이같은 공세에도 불구, 에어버스는 자신만만하다. A-380의 최대속도와 운항거리가 마하 0.85 및 8천마일(1만2천800km)로 소닉 크루저에 뒤지지만 넓은 기내 공간과 편의시설, 대규모 수송에 따른 운송경비 절감 등의 장점을 지녀 '미래 항공시장'을 제패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항공전문가들은 "보잉사는 수익성이 높은 비즈니스 클래스 여행객을 주타깃으로 하고 일반 항공시장은 에어버스에 내준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10년 후의 항공시장을 어느쪽이 더 정확히 분석했는 지 지금은 판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날렵한 디자인을 자랑하며 음속에 가까운 빠른 속도로 나는 '소닉 크루저', 초호화 유람선을 방불케하는 'A-380'. 세계적 항공기 메이커인 미국 보잉사와 유럽의 에어버스중 누가 21세기 항공기 시장을 제패할 지 주목된다.
석민기자 sukmin@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