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슈르포-증기價 인상 우려 업계 반발

구미 열병합 발전소 매각 문제로 구미 공단이 시끌거린다. 정부에서는 팔아야겠다 하나 공단 업체들이나 발전소 종업원들은 반대하고 있는 것이다.

▨비중 높은 열병합 발전소

구미 열병합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증기를 쓰는 공장은 60여개에 이른다. 이 업체들은 구미공단 생산량의 22%, 수출액의 37%, 고용인원의 35%를 차지하고 있다.

열병합 발전소는 연간 473억원 어치의 증기를 생산해 이들 업체에 제공하고, 221억원 어치 생산되는 전기는 한전에 납품한다. 증기는 여러가지 공장의 보온, 프레스 압축, 섬유 제조 공정, 전자제품 생산 공정, 터빈 작동 등에 쓰인다.

이렇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 시설은 구미 수출공단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에서 1천200억원이나 들여 건설, 현재는 한국산업단지 공단 소유로 돼 있다. 1992년 6월에 상업 가동을 시작했다. 부지만도 무려 2만8천평에 이른다.

▨정부의 매각 추진

열병합 발전소를 매각하려는 계획은 기획예산처가 주도하고 있다. 산자부에 올 연말까지 매각토록 요구한 것. 아직 구체적 일정까지는 잡히지 않았으나, 발전소 측은 이미 컨설팅사에 경영 진단을 의뢰해 놓고 있다.

또 정부는 이 발전소 뿐 아니라 다른 유사 시설도 민간에 팔 계획이어서, 구미 것만 놔둘 경우 반월공단 시설 등과의 형평성도 문제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구미 시설은 그동안 여러 차례에 걸쳐 경영합리화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현재 부채가 860여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이미 인력을 33% 감축하고, 수요처를 개발해 수익성을 높이며, 기술적인 경비 절감 방안을 높이는 등 노력해 왔다는 것이다.

▨공단 업체들의 매각 반대 이유

증기를 공급 받는 기업들은 열병합 발전소가 민영화되면 증기 가격이 높아질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비영리 시설에서 수익 시설로 바뀌면 요금 대폭 인상이 불보듯 하고, 그렇게 되면 공단업체들의 기업 경쟁력이 떨어질 것이라는 얘기. 현재는 기업들이 자체 시설을 마련해 증기를 생산하는 것 보다 25% 정도 싸게 증기를 공급 받고 있는 것으로 추계됐다.

'한국합섬'의 에너지 담당자는 "민간에 이양되면 요금이 오를 것은 뻔하고, 또 발전소에 사고가 생기거나 증기 생산 공정상 하자가 발생해도 대처 능력이 떨어져 증기 사용 기업들이 애를 먹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리온전기 관계자는 "이 발전소는 값싼 석탄을 쓰고 있으나, 공단 내 대기업들에겐 2007년부터 벙커C유 조차 사용이 금지된다"며, "민영화돼 발전소가 LNG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으로 변하면 증기 단가는 t당 1만원으로까지 높아짐으로써 기업 부담이 엄청나게 늘 것"이라고 했다.

구미상의 곽공순 조사부장은 "이 시설은 본래 정부 차원에서 수출을 증대 시키기 위해 만든 것"이라고 환기시키고, "민영화 하면 가뜩이나 나빠지고 있는 국제 경쟁력을 더 떨어뜨리고 기업의 채산성 악화를 불러올 것"이라고 우려했다. 따라서 수출 지원 차원에서라도 민영화는 철회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단 컨소시엄의 매입 타진

발전소 노조도 민영화 반대에는 마찬가지이다. 그렇게 되면 인원을 더 줄이려 들 것이어서 고용이 불안해질 것이기 때문이라고 관계자는 말했다.

일이 이렇게 되자 공단 기업들은 "민영화가 철회되지 않을 경우 증기 소비 기업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발전소를 사 들일 수 있도록 우선권이라도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주)새한 등 대규모 기업들은 "이렇게라도 돼야 증기의 안정적 공급이 보장되고 가격의 적정선 유지도 가능할 수 있다"며 매입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구미.박종국기자 jkpar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