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상식과 틀은 깨져야 한다".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 선생의 예술적 안목이자 생(生)의 비전이다. 사실 선생은 오래 전부터 틈만 나면 이 말을 강조해왔건만, 이전에는 그저 한 천재 작가의 독특한 비전이겠거니 하고 건성으로 흘렸다. 그러다, 창의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창조가 아님 죽음"이란 서슬 퍼런 극언까지 반 푸념으로 낼 처지에 이르자 선생의 말은 천금의 무게가 된다.
피카소가 큐비스트임은 알아도 사실화의 대가(大家)였음을 아는 이는 드물다. 내 보기에, 사물을 섬세하게 그려내고 거기에 아무리 강한 입체감을 넣어도 결국은 종이 위의 평면으로 머물더라는 사실화에 대한 독특한 눈 뜸, 다시 말해 그 한계에 부딪히고 이를 절감하면서 오히려 그의 큐비즘은 가닥이 잡혔다는 분석이다. 프랑스 작가 두샹은 엉뚱하게도 '변기'를 화랑에 전시하고, 플라톤의 미술무용론(無用論)을 비웃듯 화랑의 벽을 뚫고 실제 침대를 그 자리에 박아 넣는 등, 일상의 사물에 대한 남다른 미학으로 '개념적 예술(Conceptual Art)'을 창시했다. 작년 서울연극제에 온 미국 연출가 로버트 윌슨은 우는 애를 달래려는 엄마의 표정, 첫 10초간이 대개의 경우 애를 협박하고 공포에 질리게 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는 이 소스라치는 현상을 연극화한 적이 있다. 일상을 당연하게 받아들이지 않은 한 표본이겠다.
필자는 이 세 가지 사례의 공통점이 백남준 선생이 제시한 비전에 함축돼 있다고 본다. 즉, 모든 상식과 틀은 깨져야 한다는 함성이고, 그러려면 세상에 없는 무엇에 미련 떨 일이 아니라(흔히들 이를 창조의 몸짓이라 착각한다) 존재하는 모든 것들에 치열하게 함몰해야 한다는 말이다. 궁극적으로 모든 인간사는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변화를 담보함이 선생의 지적이지만, 이 한계는 쉽게 드러나지 않으므로 이것이 기존 현상을 비틀고 뒤집을 절대적 이유인 것이다. 자, 이 봄, 봄의 의미라도 붙잡고 워밍업을 하자. 그것도 생존의 몸부림으로.
가야대 교수.연극학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