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에 살고있는 시각장애인은 약 2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 중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등록한 시각장애인은 지난 1월 현재 6천413명이다. 그러나 이들을 지원하고 도와주는 곳이 경북도내에 전무하다.
비장애인도 개인 능력이나 생활환경의 차이에 따라 학습능력이 달라진다. 특히 장애인은 개인 능력이 천차만별이어서 이들을 한 곳에 모아놓고 교육하거나 재활훈련을 한다면 효과가 없는 것은 당연하다. 시각장애인의 손발을 묶고 걷게하고 지체장애인에게 목발이나 휠체어 없이 달리게 한다면 어떤 현상이 벌어지겠는가.
장애인에겐 장애 특성에 따른 서비스를 지원해야 한다. 경북도엔 지체 장애인 등을 위한 교육기관과 장애인종합복지관 등 재활시설이 있으나 시각장애인을 위한 지원시설은 전혀 없다. 시각장애인은 전체 장애인의 10%에 불과하다. 하지만 시각장애는 다른 장애보다 훨씬 심각한 장애다. 시각이 인간의 전체 기능중 90%를 좌우한다고 알려졌기 때문이다. 사고로 갑자기 시각장애가 왔다고 가정해보자. 밥먹고 옷입고 걷는 기초적인 사회생활 훈련부터 새로 시작해 다른 감각기관을 활용하는 법을 배워야 할 것이다.
시각장애인을 특별대우 해달라는 게 아니다. 시각장애의 특수성을 인정해 올바른 장애인 정책을 수립하라는 것이다. 경북도는 공급자 중심이 아닌 수요자 중심의 장애인 복지정책을 통해 생산적 복지를 달성해야 한다.
이재호(포항시 죽도2동)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