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부 현대 살리기 갈수록 태산

정부와 채권단의 현대 3사 처리가 고비를 맞고 있다.현대건설은 특혜시비에도 불구, 출자전환 방침이 결정돼 고비를 넘기는 듯했으나 출자전환을 둘러싼 분담기준 결정을 둘러싸고 채권금융기관간 마찰을 빚고 있다.지난 20일 분담기준 결정을 위한 실무위원회에는 투신권 19개사가 아예 회의참석조차 하지 않아 대립양상이 격화됐다.

하이닉스반도체(구 현대전자)에 대해서는 살로먼스미스바니(SSB)가 주간사가 돼 1조8천억원의 해외자금조달에 나서겠다고 밝혔지만 정부와 채권단에 수용이 까다로운 여러가지 형태의 금융지원을 요구했다.

정부는 현대전자를 살려야 한다는 방침은 섰지만 SSB의 요구를 모두 수용할 경우 파격적인 지원으로 특혜시비에 휘말릴 수 있어 고민하고 있다.

정부와 채권단은 하이닉스에 대해 지속적인 지원을 해온 만큼 특혜시비가 불거지더라도 당초 계획한 지원방안을 밀고 나갈 수밖에 없을 것으로 금융계는 보고 있다.

현대석유화학은 지난 19일 채권은행들이 약속한 신규자금을 하나은행을 마지막으로 지급을 완료함으로써 급한 불은 껐다.

▲현대건설=정부는 현대건설 출자전환에 반대하는 투신권에 몇가지 대안을 제시했으나 투신권은 여전히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19개 투신운용사로 구성된 투신 공동대책반은 자신들이 정식 채권기관이 아닌데다 증권투자신탁업법과 약관상 출자전환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투신사가 갖고 있는 회사채 규모는 5천억원 수준으로 투신권이 물러난다면 은행들이 떠맡아야하는 상황이다.

금감위는 회사채 출자전환이 어려울 경우 전환사채(CB)나 신규유상증자 참여, 기업어음(CP)인수, 채무면제 등의 방식으로 동참하는 방안을 투신권에 제시할 계획이었지만 회의불참으로 논의조차 이뤄지지 않았다.

▲현대전자=SSB 요구안 가운데 신속인수방식으로 차환발행된 회사채 만기연장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만기를 1년으로 운용하고 있지만 1년6개월까지도 규약상 가능하다는 것이 재경부 관계자의 설명이다.

내년중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 상환을 위해 1조원 상당의 CB를 인수해 달라는 요구에 대해서는 정부와 채권단이 난감해 하고 있다.

현대건설 출자전환에 이어 하이닉스마저 출자전환으로 갈 경우 채권단의 부담은 차치하고라도 정부로서도 채권단 중심의 상시구조조정 원칙에 대한 예외를 인정하는 꼴이어서 특혜성 시비를 부를 수 있다.

재경부는 D/A(무신용장방식수출금융) 한도 연장이나 신디케이트론 만기분산 등은 채권단이 결정할 사안이라며 한발 물러나 있다.

주채권은행인 외환은행은 조만간 전체 채권금융기관협의회를 열어 이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지만 다른 기업과 비교할 수 없는 특혜성 지원으로 일관돼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현대석유화학=채권단은 지난 3월 현대석유화학에 대해 금년 6월까지 만기도래하는 여신을 6개월간 만기연장하고 공장 등 부동산을 담보로 1천150억원의 신규자금을 6개월간 지원키로 했다.

신규자금 지원을 둘러싸고 채권은행간 마찰이 있었으나 하나은행이 지난 19일 미지급분 119억원을 지급함으로써 급한 불은 껐다.

(연합)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