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회복지사 떠나고 싶다

사회복지사 김모(여)씨는 요즘 심한 '우울증'에 시달리고 있다. 자신이 직접 방문을 통해 관리해야하는 가구수만 무려 370여곳. 평일에는 밤 11시까지 근무하기 일쑤고 휴일에도 사무실에 나와야 할 정도로 중노동이다. 게다가 요즘같은 봄철에는 산불대기 등 동료공무원들의 '기본 휴일업무'까지 떠맡는 일도 잦아 자신이 동사무소에서 하나뿐인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이 맞는지 우울할 정도다.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시행 이후 복지행정의 첨병인 '사회복지직 전문공무원'들이 직업병을 앓을 정도로 심각한 '업무과부하'를 호소하고 있다.

특히 이들은 지난해 동사무소 주민자치센터 전환 이후 다른 업무에까지 내몰리면서 절반이 이직을 고려할 정도로 사기가 떨어져 있어 본연의 국가복지사업에 '구멍'이 뚫렸다.

대구시의 경우 한번도 정원(185명)을 채우지 못할 만큼 이직이 잦아 현재도 181명의 사회복지사들이 근무하고 있다.

이들은 기초생활보호대상자 선정.관리.자활사업, 노인.모자가정.소년소녀가장 관리, 장애인등록, 의료보호.공공근로 등 10가지 이상의 복지업무 처리 외에 수시로 각종 복지시설점검 사업에 투입되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서울.부산에서는 사회복지직 공무원들의 과로사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며 "규정상 1명의 직원이 기초생보자 200가구를 맡도록 하고 있지만 보통 300~400가구를 떠맡을 정도로 정원 자체도 불합리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기초생활보장제만 해도 수급자 선정을 둘러싼 공정성 민원이 끊이지 않는 것을 비롯, 복지행정이 부실해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사회복지사 이모씨는 "학교에서 조사할 수 있을 결식아동까지 보고하라는 공문이 수시로 날아들 정도"라며 "이 상태에서는 소외가정 방문은 고사하고 서류업무조차 제대로 할 수 없는 실정"이라고 하소연했다.

김영화(경북대 사회복지학과)교수는 "정부는 전국 사회복지사들의 수를 현재보다 2배가량 늘리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며 "정부가 던져 놓은 국민기초생활보장제 등 굵직한 복지정책들이 방황하고 있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한국사회복지사협회가 지난 한해 전국 읍면동사무소의 사회복지사 5천818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47.8%가 이직 의사를 보였다.

최경철기자 koala@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