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검찰 병역비리 수사 초점

박노항 원사에게 금품을 주고 자제들의 병역을 면제시킨 정.관계 인사 등 사회지도층 인사들의 면면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 가운데 지난 98년 병역비리로 구속됐던 원용수 준위가 다시 관심을 끌고있다.

당시 원 준위의 수첩에 434명의 병역관련 청탁자 이름이 적혀 있었고 이들 인사들의 상당수가 박 원사의 손을 거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원 준위는 98년 검거직전 박 원사에게 '사태가 심상치 않으니 피하라'는 내용의 쪽지를 전달할 정도로 당시 병역비리와 관련해 깊은 관계를 맺고 있던 사이.

수사당국은 당시 '원용수 리스트'에 오른 인사들 중 금품수수 혐의가 확인된 사람은 138명이었지만 나머지 청탁자들 중에도 박 원사와 연관을 맺은 사람들이 상당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따라 수사당국은 98년 당시 수사기록과 원 준위의 수첩에 적힌 청탁자 명단에 대한 정밀 분석작업에 들어가는 한편 필요한 경우 현재 군교도소에 수감중인 원준위와 박 원사를 대질신문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원 준위의 청탁자 명단에는 또 전현직 군 수뇌부를 포함한 군 고위장성과 부관장교 등 군 관계자들이 상당수 포함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사회지도층 인사들이 직접 원 준위에게 병역 관련 청탁을 하기보다는 국방부나 육군본부의 고위장성을 통해 민원을 해결했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으로 이는 박 원사의 경우도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그러나 원준위가 10여년 동안 병무청 파견 모병연락관이라는 핵심요직에 근무한 점으로 미뤄 나름대로 사회지도층 인사들과의 직접적인 거래 관계도 유지했을 것으로 보이며 원준위와 박원사가 함께 유력인사들과 친분을 공유했을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반부패국민연대가 지난해 2월 검찰에 제출한 120명의 병역비리 의혹 명단과 이후 검찰의 내사를 받은 것으로 알려진 현역 여야 국회의원 50여명의 명단도 원준위 병역비리 사건의 관련자료를 토대로 작성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원용수 리스트' 등 관련자료를 사정기관이 군당국으로부터 넘겨받았고 비리와 관련된 과거 군관계자에 대한 새로운 진술 등이 확보돼 검찰이 이를 토대로 내사를 벌였다는 것이다.

군당국과 검찰은 결국 '원용수 리스트'가 '박노항 리스트'와 상당부분 겹치고 있고 이는 다시 반부패국민연대의 병역비리명단과도 상당부분 일치하고 있다는 점을 중시,'거물급 인사들의 연루 여부를 캐는데 '원용수 리스트'를 십분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