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버스 파업 해결책 없나

'시민의 발'을 담보로 한 시내버스 파업이 연례행사처럼 되풀이되고 있다. 이번 파업 사태를 거울 삼아 시내버스업계 전반에 걸쳐 강력한 개선작업과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시내버스는 고정승객을 소화해야 하는 대중교통의 중요한 축이기 때문이다. 시내버스가 운행을 멈출 경우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은 다른 대체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없어 막대한 불편을 감수하고 있다. 시내버스 승객은 '체포된 승객(Captive Rider)'이므로 파업시 승객들이 고스란히 피해를 볼 수 밖에 없다.

이처럼 시내버스는 대중교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버스업계는 구조적으로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다. 갈수록 자가용이 늘고 지하철에 승객을 뺏기면서 시내버스 승객은 큰 폭으로 줄고 있다. 버스업을 두고 '황금알을 낳은 사업'이라던 시절은 오래전이다. 버스업체들마다 경영난에 봉착해 있는 게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시내버스가 수익사업이 아니라는 사실은 외국의 사례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외국에서는 개인이 버스사업을 해서 흑자를 내는 경우가 거의 없다. 관에서 운영하는 국영 또는 시영버스도 적자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자치단체의 예산에서도 버스회사 운영비가 가장 많다. 우리나라도 정부차원에서 버스업체에 지원금을 주고 있으나 외국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정부가 이제부터라도 시내버스에 대해 '투자'를 해야 한다. 버스업체를 지원한다는 고정 관념 대신 버스를 진정한 시민의 발로 거듭나게 한다는 새로운 인식을 갖고 버스업에 대한 지원을 해야 한다. 교통유발부담금 등 교통과 관련한 세수를 과감하게 버스업에 쏟아 버스의 서비스를 개선해야 할 것이다. 시내버스의 서비스가 좋아지면 이용객은 자연스럽게 늘게 돼 있다. 그동안 정부는 자가용 위주의 교통정책을 펴왔다. 여기에서 벗어나 시내버스 등을 중심으로 한 대중교통정책으로 선회해야 한다.

더불어 버스업체들의 자구노력도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 업주들은 하루하루 벌어 산다는 식으로 시내버스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시내버스 서비스가 나아질리 만무하다. 업주 스스로 장기적 비전을 갖고 시민들의 발인 대중교통수단의 한 축을 맡고 있다는 인식의 대전환이 시급하다.

버스도착 안내시스템과 같은 지능형 교통처리 서비스 도입, 지하철과 마을·시내버스 완승시 요금할인 등 서비스 개선책도 하루빨리 추진돼야 한다.

결론적으로 말해 버스업이 죽는다는 것은 절대 안된다. 그 이유는 시내버스가 시민들의 발이기 때문이다.

계명대 김기혁 교수(교통공학)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