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으로 지난 1년간 일본 히로시마(廣島)에 머물면서 일제시대의 세토 내해(瀨戶內海)지역 어민의 한국 근해어업과 이주어촌 건설에 대하여 현지조사하면서 많은 것을 배운 바 있다. 문헌자료만으로는 느낄 수 없는 현장감을 체득할 수 있었다는 사실과, 현지에서가 아니면 얻을 수 없는 자료를 많이 수집할 수 있었다. 생소한 지역을 방문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지만, 역시 어려움을 감내한 결과는 만족스러웠다.
새삼스럽게 유학시절 지도교수의 '발로 쓰는 역사'의 중요성을, '지역에 새겨진 역사, 지역과 함께 전해져 온 역사를 지역의 향기와 함께' 퍼올리는 역사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던 말씀이 기억에 되살아 났다.
목하 교육의 위기를 전하고 있는 우리의 교육현장에서, 공허한 지식의 전달 교육보다 생활현장에 바탕을 둔 살아 숨쉬는 정보를 스스로 채집하고 이를 재구성하는 교육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물리나 화학에서 실험실습이 중요하듯이,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는 생활터전에 바탕을 둔 현장감 나는 교육이 사회적으로 유용하다 하겠다.
히로시마에서 강의할 기회가 주어져 학생들과 접한 결과, 당시 히로시마 근해의 어민이 명치유신 직후부터 조선근해에까지 돛단배로 죽음을 무릅쓰고 가서 어업을 하고, 나중에 이주하여 어촌경영을 한 역사적 식민사실을 이야기 하니, 초문이라며 놀라워하였다. 더욱이 근세에는 '조선통신사'라 하여 400~500여명에 이르는 인원이 각 지역 일본인의 안내를 받아 가며 12번이나 세토 내해를 거쳐 에도(江戶, 지금의 동경)까지 왕래하면서, 히로시마현의 시모가마가리(下蒲刹) 섬에서 숙박한 사실을 이야기 하니 더욱 놀라워하며 관심을 보였다. 때마침 불고 있는 김치나 불고기 등 한국 식문화의 붐과 더불어 한국방문을 결심하고 바로 실행에 옮기는 학생들이 생겨나는 것을 보면서 이문화(異文化) 이해의 지름 길이 여기에 있음을 실감하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