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학교급식 양·질 모두 낙제점

안전하고 투명한 학교 급식이 중대한 국가적 과제로 대두했다. 1999년 고등학교에서 전면적으로 시작된 뒤 늦어도 내년 봄부터는 중학교까지로 범위가 확대돼, 전국 800만명, 대구와 경북에서 각 44만여명이 학교에서 밥을 공급받게 됐으나 아직도 안전성 조차 제대로 확보되지 못하고 있다.

식중독 사고는 해마다 잇따라, 올들어서도 대구에서는 지난달 27일 성광고 학생 126명이 고통을 당했다. 일부 학생들은 그 이튿날까지 수업 중 교실 밖으로 뛰쳐나가 구토하기도 했다. 작년에 급식 식중독으로 고생한 전국 학생은 무려 4천800여명에 이르렀다.

그렇지만 학교측은 쓰레기 처리 비용을 줄이려고 먹거리를 실어 오는 급식 냉장차에다 음식 쓰레기를 되실어 가도록 공공연히 요구하고 있다. 이때문에 납품업체들이 작년 11월과 지난 1월 두차례나 공개적으로 민원을 제기, 교육청이 금지시키는 일까지 벌어졌다. ㅅ납품사 관계자는 "납품 계약 때 조건에 넣거나 증거를 안남기려 말로 그렇게 요구하는 경우가 아직도 있다. 거절하면 더 이상 거래하기 힘들다"고 했다. 학생들이야 어떻게 되든 돈이 더 중하다는 마음가짐인 이상, 식중독 사고는 끊일 수 없을 것이다.

급식 소비자인 학생들의 불만과 불신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외부에서 도시락을 날라 와 급식하던 상당수 중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스스로 급식을 중단하는 일이 잇따랐고, ㅅ고 정모군은 "급식비로 매달 3만5천원 정도나 내지만 식사량이 부족해 매일 매점이나 학교 앞 분식점에서 3천원어치씩은 사 먹는다"고 했다. 고교생은 먹는 양이 2배나 많지만 1인당 음식재료 구매비는 초교생보다 평균 300원 밖에 많지 않고 중학생(1천310원)보다는 되레 적은 1천293원에 불과하기도 하다.

음식 공급량은 적지만 음식쓰레기는 넘쳐난다. 대구 ㄴ고 영양사 전모씨는 "반찬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매끼마다 잔반이 4~5통씩 생긴다"고 했다. 학생들 입맛에 맞는 음식을 제공하기가 사실상 힘들다는 것. 이런 일을 억지로 막겠다고 시교육청은 올해 "구내 매점·식당의 식사류 판매를 제한하라"고 지시했다.

시내 한 학교에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5%는 학교 급식당도 불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돌·머리카락·철수세미·비닐조각 등이 밥·반찬에서 나온다는 학생도 63%에 이르렀다. 그러나 매달 수천만원에 달하는 학교별 급식비가 제대로 쓰였는지조차 제대로 공개되지 않고 있다.

김수용기자 ksy@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