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후반 세계적인 스포츠 지도자로 흔히 바켈라스(Demetrius Vikelas)와 쿠베르탱(Pierre de Coubertin)을 꼽는다. 이 두 사람은 올림픽 부활에는 동지적인 입장이었다. 그리스인인 바켈라스는 프랑스인으로 올림픽부활을 주창하는 쿠베르탱의 계획을 전적으로 찬동하고 아낌없는 지원을 했다고 한다. 이처럼 두 사람은 올림픽부활을 놓고 한치의 틈새도 없었으나 접근하는 마음은 달랐다. 바켈라스는 당연하게 조국 그리스 영광 재현에 쌍수를드는 입장. 쿠베르탱은 부활 첫대회 개최지는 그리스가 아니어도 무방하다는 생각이었다.
▲두사람의 격돌은 1894년 6월 23일에 열린 파리 콩그레스서 종지부를 찍게 된다. 이 국제대회에서 고대 그리스 올림픽을 부활키로 결정하고 첫대회의 개최지를 아테네로 정했다. 이와 함께 이날 창설한 IOC의 초대위원장은 개최국에서 선출하기로 합의해 쿠베르탱으로서는 철저한 패배였다. 부활 올림픽의 첫 개최도시로 파리가 제격이라는 평소의 주장이 밀려났고, 초대 IOC위원장 자리도 바켈라스가 앉게 된 것이다. 평소 주창한 올림픽 부활은 결실을 보았지만 조국 프랑스에게 무엇을 가져다 주지는 못했다.
▲오는 7월16일 모스크바에서 있을 국제올림픽위원회(IOC)위원장 선거에 출마한 김운용 대한체육회장의 당선 가능성에 전세계의 관심이 집중돼 있다. 동양인으로서는 처음 있는 도전이고 승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현재의 표밭 분포 등으로 본 판세는 3파전으로 본다. 김 회장과 자크 로게(59·벨기에) 집행위원, 딕 파운드(59·캐나다)위원. 그러나 최종 맞대결은 김회장과 로게 일것이라는 게 지배적인 전망이다. 스스로 당선가능성을 50대50으로 평가하고 김 회장은 1차 투표에서 과반수 득표가 어려울 것으로 보고 2차투표에서 승부를 건다는 전략을 세워놓고 있다.
▲IOC 위원장을 뽑을 위원은 79개국 123명. IOC위원은 어느 나라를 가든 비자 없이 입국할 수 있고 호텔에 도착하면 자기나라의 국기가 게양될만큼 세계적으로 권위가 인정된다. 올림픽 종목 채택, 개최지 결정 등 권한이 막강하다. 이를 조정하는 위원장의 영향력은 유엔 사무총장을 능가할 정도라는 얘기다. 이 막강한 자리를 놓고 각축을 벌이는 김 회장은 대구 남산동 뽕밭에 대한 추억을 종종 말할 정도로 어린 시절을 한때 보냈다고 한다. '7월 모스크바 변혁'에 대한 국민적인관심이 아쉽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