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시외버스 노사 임금협상 진통

대구에서 경북을 오가는 시외버스가 노사간 임금협상을 놓고 첨예한 대립을 보이고 있다.

사용자측은 다른 시도처럼 정부의 재정지원이 없는 만성적자 상태서 임금협상 자체가 어렵다는 입장인 반면 노조는 임금 12.7% 인상을 고수하며 파업을 불사하고 나섰다.

경북 버스운송사업조합은 24일 "지난 봄 다른 6개 시도에 대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지원 같은 대책이 없는 한 임금교섭이 어렵다"고 밝혔다.

조합은 대구시내 동부·북부·남부 3개 시외버스정류장 이용승객이 지난 10년간 1천300만명, 66%가 감소했고, 올들어서도 5개월동안 전년 동기대비 19만명, 7.4%가 줄었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운송수익금이 원가에도 못미쳐 농어촌버스의 경우 하루 대당 9만6천원, 시외버스는 5만8천원, 시내버스는 6만8천원의 손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42개 회사 2천507대 버스의 총 부채가 1천123억원, 대당 4천만원에 달해 상당수 업체는 임금 체불에 시달리고 노후차량을 그대로 운행하고 있는 실정이다.조합 관계자는 "민간차원의 버스운영이 한계를 넘어선 만큼 재정지원을 통한 정부개입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노조는 임금 12.7% 인상, 근무일수 조정 등을 고수하고 있으며, 특히 시내·농어촌버스는 올해부터 공동협상을 들고 나와 협상수위를 강화했다.

노조 관계자는 "생계비를 위협받을 만큼 임금수준이 열악한 실정이다"며 "노조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파업도 불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노사 양측은 28일 대구시 수성구 만촌동 버스조합에서 임금협상을 가질 예정이나 입장차가 커 타결 가능성이 희박한 상황이다.

이종규기자 jongku@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