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화섬직물업계 불황 공동대응

지역 화섬직물업의 심각한 불황을 맞아 업계,관,연구소 등이 돌파구 마련을 위한 공동대응에 나섰다.

19일 지역 섬유관련 기관.단체,업계,대구시,산업자원부,연구소 관계자 34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구.경북견직물조합에서 열린 '제1차 화섬직물 불황대책회의'에서는 섬유 생산,수출입,인력,자금 분야의 다양한 지원요구와 대응책이 논의됐다.

이날 참석자들은 "지역업계 대다수가 올해 섬유수출 목표액을 30%가량 하향조정해 감산과 조업중단이 잇따르고 있다"면서 "수출실적이 하향세로 돌아선 지난해 7월 이후 불황의 골이 갈수록 깊어만 가는데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조복제 동성교역(주) 회장은 "중국 등 동남아에 원가경쟁력보다는 고급화,차별화 전략으로 대응할 수 밖에 없다"면서 "부산 신발업체가 중국현지진출과 아웃소싱 등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점에 지역 섬유업계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대균 서광물산 대표도 "섬유직기 수백대씩 갖춘 중국 업체들이 많지만 대다수 평범한 제품만 생산하고 있기때문에 신제품 개발 등 틈새시장 공략의여지가 있다"고 전제한 뒤 "정부도 산업용전기 및 공업용수 사용료 인하 등 업계지원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남병성 (주)남승 대표는 밀라노프로젝트 일부 예산을 들인 '섬유원료의 공동구매,공동판매기구 설립', 영세업체 보호를 위한 대기업 양산체제 규제,직기 및 공장매각 등을 가로막는 세금을 비롯한 관련법규 개정을 산자부에 요구했다.

외국인산업연수생 관련 제도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았다.

한우관 (주)동화 대표는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최저임금이 매년 4%내외 인상에서 지난해엔 무려 16% 올라 업체부담이 커다"고 지적했으며, 강삼곤대경산업 대표도 "2년 뒤 1년 연장이 가능한 현행 외국인산업연수생 근무연한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참석자들은 생산설비실태조사, 중국 등 수출경쟁국 섬유정보 파악, 부도업체 덤핑대책, 운영자금 지원 및 상환자금 연장, 중국의 WTO가입및 섬유교역 자유화 대응책 마련 등을 정부와 단체 등에 촉구했다.

김병구기자 kbg@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