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부터 음료수, 주류, 화장품 등의 제품에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포장재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나 시행 6개월이 지나도록 겉돌고 있다. 이 바람에 포장재의 재활용을 어렵게 하고 소각할 경우 환경호르몬인 다이옥신 등을 배출시키고 있다.
포장업계에 따르면 PVC 포장재는 재활용이 가능한 PET 등 대체 포장재보다 30% 정도 값이 싸기 때문에 아직도 6대4 정도로 사용비율이 높다.
PET병을 재처리, 재생섬유 업체에 납품하는 한 재활용업체 관계자는 "하루 5t 정도 들어오는 PET병 중 30~40% 정도에 PVC 포장재가 붙어 있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이처럼 PVC 포장재 사용에 따른 피해가 커지자 올해부터 시행한 관련 규제법에 따라 오는 15일까지 각 광역지자체에 올 상반기 단속현황을 제출토록 했지만 아직까지 보고된 단속사례는 한 건도 없는 실정이다.
대구시도 지난 4월 각 기초자치단체에 PVC 포장재 사용실태 점검을 지시했으나 구·군청은 현장단속이 전무한데다 규제내용조차 제대로 파악이 안된 상태다.
대구 한 구청 관계자는 "포장재질은 용기와 달리 성분표시를 생략할 수 있고 육안으로 구분할 수 없는데도 구체적 방법도 제시하지 않은 채 단속만 요구하고 있다"며 "제도적 뒷받침이 없으면 실효성 없는 단속에 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환경단체들은 "선진국들의 경우 과학적 실험을 통해 PVC 포장재를 철저히 규제하고 있다"며 "국내에서도 국립품질기술원 등 전문검사기관을 통해 정기적으로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상헌기자 dava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