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과거 농산물 가공정책들

'일본 기무치를 물리친 김치'.세계 김치시장을 두고 원조 한국과 후발주자 일본이 벌인 원조논쟁과 김치전쟁은 이달초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가 김치를 국제식품으로 인정, 막을 내렸고 김치는 농산물 가공산업 대표적 성공케이스.

농산물 가공산업은 박정희 전대통령의 '농공병진(農工倂進)정책'으로 가속도가 붙었고 그 밑거름은 오늘날 김치가 국제식품으로 인정받기에 이른 것〈휘호 참조〉.정부는 60대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함께 강력한 공업화 정책으로 고성장 가도를 달렸다. 당시는 부족한 식량자급 해결이 지상과제였다. 산업화에 따른 연중 농산물 수요증가에도 불구, 농산물 저장·가공능력이 떨어져 수입에 의존했다.

이에 박전대통령은 1967년 △농산물 부가가치 증대 △농산물의 안정적 공급과 가격안정 △농촌의 유휴노동력 흡수 △도농간 소득격차 해소차원에서 농공병진 정책 추진에 나선 것. 이를 전담하는 기구로 농어촌개발공사(현 농수산물유통공사. 1987년1월 명칭변경)가 그해 12월1일 설립됐다.

가공산업은 그 뒤 핵가족화와 아파트 보급, 전통식품 사먹기, 외식산업 성장과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고조 등 식품소비 성향과 식생활 변화에 맞춰 잊혀진 전통식품 등 우리 농산물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산업은 양적, 질적팽창을 거듭했다.

특히 우리 농산물 가공산업은 UR대책과 함께 집중적인 지원정책이 이뤄졌다. 89년에는 농산물 가공산업 중장기 육성계획이 수립됐고 93년에는 농수산물가공산업육성및 품질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됐다. 89년부터 지난해까지 2천762군데 9천325억원(경북181개소 1천116억원)이 투자됐다.

농산물 가공산업 육성은 산지가공 공장(전통식품과 산지일반 가공)과 특산단지 분야로 나눠 이뤄졌다. 92년~98년까지 산지 가공공장 매출액은 2조6천234억원, 특산단지는 1천454억원에 이르렀다. 종사원도 98년 기준 산지가공 공장이 1만명, 특산단지 7천여명 등으로 농촌지역 고용창출에 기여했다.

그러나 이들 가공공장의 경영주의 85%가 경영경험이 부족한 농업인 출신이고 운영비등 영세성으로 부실화가 계속됐다. 농림부에 따르면 99년경우 가동업체 109군데가 103억원의 적자를 낸 것으로 조사됐다. 또 올해 사업전망에 대해서도 저조하거나 크게 나빠질 것이란 반응도 766개 가동업체중 170개소(22.2%)에 이르는 등 농산물 가공산업이 여전히 어려운 여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통 가공식품 경우 유통공사가 이달초 소비자 1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가격이 비싼(58.7%) 것으로 조사돼 가공산업의 앞날이 여전히 밝지만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농림부는 농산물 가공산업 육성책으로 △부실업체 정리 △컨설팅 지원과 전문가 파견지도 △유통망 확대 △박람회참가와 특판전 개최지원 △운영자금지원 등을 추진중이다.

정인열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