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JP·이한동총리 회동

자민련 김종필 명예총재와 이한동 총리가 31일 오랜만에 만났다. 이날 만남은 여권내 당정개편론이 불거지면서 이 총리의 당복귀설이 흘러나오고 대선과 관련해 JP대망론과 왕건론이 일각에서 제기되는 상황에서 이뤄진 만남이어서 공동여당인 자민련의 운명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돼 눈길을 끌었다.

정치권에서는 우선 두 사람의 회동시점이 민주당내 차기 대선주자들의 적극적인 움직임과 비교할 때 자민련의 움직임이 크게 위축된 때라는 점을 주시하고 있다. 공동여당인 한쪽은 각 개파간 연대론과 외아들론, 적자론, 영남후보론까지 나오고 있으나 자민련은 이렇다할 카드를 내놓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이완구 원내총무의 "민주당과의 공조는 정책공조이지 선거공조는 아니다"는 발언이라든지 이양희 총장이 "자민련에 대권후보를 주면 합당도 가능하다"고 한 발언에서도 자민련의 답답한 속내를 읽을 수 있다. 또 지난 30일 확대당직자회의에서 "공조를 위해 당의 정체성을 훼손하는 일은 절대 없을 것(이 총무)"이라며 "독자 목소리를 내는데 주력하겠다(변웅전 대변인)"고 밝힌 대목에서도 찾을 수 있다.

이를 두고 "한나라당과 여지를 남겨두는 식의 태도를 취해 민주당 심기를 건드리려는 '지분강화용'속셈"이라는 시각이 적지않다. 그러나 "JP대망론을 비롯해 자민련 독자후보론을 띄우기 위한 전초전이 아니냐"는 지적도 만만찮다. 결국 이 총장과 이 총무의 발언은 당의 정체성 문제를 재확인하려는 복심이 깔려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또 자민련의 활로모색에 대해 많은 얘기도 오고갔을 것으로 추측된다. 정치권에서는 당 총재를 겸하고 있는 이 총리의 당 복귀라든지 구심력 강화를 위한 내부결속과 독자후보의 필요성 등 차기 대선까지 효용가치 극대화를 위한 자민련의 자구책을 두고 쌍방 의중이 교환됐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당 관계자는 "자민련이 활로를 찾기위해서는 자기 목소리를 내는 수밖에 없다"며 "그러기 위해서는 독자후보를 내세워야 한다는 것이 당내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