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3당 합당, 공동후보 '손익은?'

김종필 자민련 명예총재의 '연륜 대통령론', 민국당 김윤환 대표의 '영남후보론'에 이어 민주당 박상규 사무총장이 '3여 공동후보론'에 동조하면서 여당의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둘러싼 논의의 방향이 흔들리고 있다.

여권에서는 "민주당 대의원이 중심이 된 전대나 후보경선은 물건너간 게 아니냐"는 얘기마저 나오고 있다. 차기 주자군은 겉으로는 별 반응을 보이지 않으면서도 주판알을 튕기며 손익계산에 분주하다.

◇이인제 딜레마=3당 합당을 전제로한 공동후보론에 가장 곤혹스런 이는 이인제 민주당 최고위원이다. JP가 지난 8일 한나라당과의 공조 가능성을 시사하고 "(차기 대통령은) 경륜과 사심없는 지도력을 갖춰야 한다"고 했을 때 민주당내에서는 이 위원을 겨냥한 발언이 아니냐는 분석이 있었다. 전날 이 위원이 JP의 고향인 충남 부여를 방문했기 때문이다.

당내 여론 지지도가 가장 높은 그로서는 JP나 허주의 발언이 전혀 달갑지 않다. 이 위원측은 4월 전대론을 주장하며 "순리를 벗어난 변수는 없다"고 자신하면서도 "(공동후보론은) 가급적 피하고 싶은 딜레마중 하나"라는 반응을 보였다.

문제는 이 위원과 JP와의 관계개선이 요원한데다 허주의 영남후보 구상이 자신의 독주체제에 전혀 득될 게 없으며 시간이 갈수록 이런 경향이 더 노골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특히 자민련이 "충청지역에 대한 배타적인 영향력을 고스란히 이 위원에게 넘기면서까지 후보자리를 내줄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설이 유력하다.

허주도 이 위원을 겨냥 "영남인들이 좋아하면 영남후보가 될 수 있지 않겠느냐"면서도 "그것은 사실 좀 어려운 일"이라고 말했다.

◇조기 전대론='3당 공동후보'가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3당 합당이 전제돼야 한다. 합당이 없는 추대형식의 공동후보는 또다른 갈등의 씨앗이 될 게 뻔하다. 그러나 지방선거 전에 후보를 선출해야 한다는 조기 전대론이 여권 내에서도 설득력을 얻고있는 만큼 3당 공동후보와 조기 전대는 길을 같이 갈 가능성이 높다.

허주도 "내년 2월 전대와 3월 후보선출"을 주장하고 있으며 이 위원을 중심으로 한 4월 전대론이 힘을 얻고 있다. 이렇게 볼 때 조기 전대론은 지금까지의 논의와는 다른 방향으로 탄력을 얻을 공산이 크다. 민주당 중심의 전대논의가 주춤해지고 합당을 전제로한 조기 전대론이 불거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여권내 한 관계자는 "조기 전대론이 동교동계 반발과 여권의 공동후보론 부상으로 주춤해졌지만 합당을 전제로한 공동후보론이 힘을 얻을 경우 다른 각도의 조기 전대론이 불거질 가능성도 적지않다"고 예견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