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 '환경훼손'제동

'환경 보전이냐 학교 신축이냐'계성초.중.고 이전이 환경 보전과 도시계획을 앞세운 대구시의 반대에 부딪혀 난항에 빠졌다. 학교재단측은 2006년 이전을 목표로 서구 상리동 와룡산 동쪽 6만6천여평 부지에 교사를 신축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부지의 80%이상을 매입하는 등 준비에 한창이다. 그러나 대구시는 이 부지가 자연녹지인데다 경사도, 임목도 등 문제가 적잖아 쉽사리 학교부지로 바꿔줄 수 없다는 입장.

지난 14일 재단측과 대구시, 시 교육청, 시의회, 도시계획위원회 등의 관계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간담회를 가졌으나 뚜렷한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양쪽 입장만 확인, 앞으로 상당 기간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대구시가 고개를 내젓는 이유는 여러 가지다. 우선 고교 부지의 경우 경사도 30~60% 지역이 전체의 45%나 돼 대규모 절토공사가 불가피한 점을 지적하고 있다. 아울러 이 지역은 20~35년전에 조림한 인공림으로 임목도 80%(직경 10cm인 수목이 3m 간격으로 식재된 수준)를 상회할 정도로 울창한 산림이 됐기 때문에 훼손이 어렵다는 것. 경사도 30%, 임목도 40%를 넘는 지역에 대해 형질변경을 허가하는 것은 지난달 마련된 건교부 규칙과 시 조례 위반이라고 했다.

재단측은 자연 훼손에 대해 적극적으로 설명했다. 무턱대고 임야를 깎아내는 게 아니라 건물과 교육에 필요한 최소 공간만 개발해 '숲속 학교'로 만들 계획이라는 것. 또 좋은 나무는 옮겨심고 학교 주변 수목을 정비하는 등 공원처럼 꾸미겠다고 밝혔다.

"필요하다면 그린벨트에도 학교 설립이 가능하도록 하겠다"고 정부가 밝힌 상황에서 초현대식 학교를 지어 이전하겠다는 재단측의 의욕이 대구시의 환경 보전 논리와 어떤 합의점을 찾아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김재경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