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아열대기후 원인부터 밝혀라

한반도의 기온이 급상승하면서 더워지고 있다. 겨울 온난화 현상에 강수량은 크게 늘어나지 않으면서 집중호우는 자주 내리는 '아열대 기후' 징후를 나타내 앞으로 이같은 현상이 계속될 경우 산업활동이나 생활패턴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이 최근 발간한 '한국기후표'에 의하면 지난 1961~90년치와 1971~2000년까지 30년간 기상관측 결과를 비교할때 전국의 연평균 기온이 0.1~0.5도 가량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겨울철 기온이 더 많이 올라 한반도 기온상승을 주도했다.

한반도 기후변화의 정확한 원인을 밝혀내야 한다. 지구온난화 영향인지 도시산업화 때문인지를 규명해야 적절한 대책을 세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같은 기후현상은 우리나라 농업과 공업 등에 큰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를 정밀하게 분석한 토대로 국가적인 준비가 필요하다. 벼·보리·밀·감자 등 기온변화에 적응하는 작물 재배의 선택 등 연구가 때늦은 감이 없지않다. 여름철 열대야 발생일수 증가에 따른 노동자의 작업시간 조정 등도 신중하게 거론할 사항이다.

우리나라는 산업화에 따른 생태계 훼손으로 자연환경에 대한 자정(自淨) 능력이 극히 부족한 나라다. 따라서 기후변화 등 요인을 감안하면 삼림(森林), 초지조성과 확보가 시급한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세계자연보존기금이 조사한 '사용 생태량'을 보면 우리국민 한사람이 지구로부터 빌려쓰고 있는 '환경 빚'은 세계 8위로 나타나 결국 환경오염 배출이 많은 나라로 인식되고 있다.

인간이 배출하는 오염물질을 흡수하는데 필요한 토지와 해양면적을 가리키는 '사용생태량'의 제고를 계속 외면하면 세계각국으로부터 어떤 제재를 받을지 모른다. 자원은 소비하면서 흡수할 수 없는 오염물질을 계속 내뿜는다면 후손들의 쾌적한 삶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 아닌가.

잦아진 집중호우는 예측 불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졌다는 의미다. 광범위한 재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정확한 일기예보와 장기예보를 위한 예산의 투입을 서둘러야 한다. 올해 경기·서울지방의 수해는 정확하지 못한 일기예보로 인한 대응소홀이 한몫 했다고 본다.

악천후에 대비할 수 있는 국가적인 대책 수립은 지나침이 없는 일이다. 집중호우 현상은 수해로 이어질 수 있는 재앙이 아닌가.

어떤 정책이건 때를 놓쳐서는 효과가 반감된다. 한반도 아열대화 조짐에 따른 나무심기·정확한 일기예보체제 확립 등을 지금부터 서둘러야 한다. 기후변화에 대한 대비는 전국민의 관심도 필요한 일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