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동원 통일부장관의 해임안 국회 가결로 정부의 대북정책 변화는 다소 불가피해 보인다.
'햇볕정책 전도사' 역을 해온 임 장관의 사퇴로 정책의 방향과 속도조절이 뒤따를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임 장관의 퇴진은 단순한 개인문제가 아니라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심판 성격도 강해 정부에 부담으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임 장관 자신도 그동안 남북정상회담, 이산가족 상봉 등 굵직굵직한 남북 문제성사에 주도적 역할을 해왔지만 본인은 정작 장관급 회담 한번 못한 채 물러나는 불명예를 안게됐다.
그러나 정부측은 임 장관의 비중 때문에 일정한 변화는 있을 수 있지만 대북화해정책 기조는 변함이 없을 것이라고 못을 박고 있다. 그 이유로 우선 임 장관 퇴진이 자의에 의해 이뤄진 것이 아니라는 점을 들고 있다. 국회 의석수 부족이라는 수적 열세에 기인한 것일 뿐 임 장관 퇴진이 햇볕정책 기조를 흔들 수는 없다는게 여권 핵심의 시각이다.
김대중 대통령도 이날 임 장관 해임안이 가결된 후 "햇볕정책은 흔들림없이 이뤄져야 한다"면서 "햇볕정책은 전세계가 지지하고 있고 이것만이 우리가 살 길"이라고 강조했다.
정부 관계자도 "임 장관 퇴진이 햇볕정책의 포기로 이어지지는 않을것"이라면서 "정부가 대북교류에 좀 더 엄격한 잣대를 적용하는 계기는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향후 대북정책은 기존 틀을 유지하면서도 다소 변화를 주는 방향으로 정리될 것으로 보인다. 일단 국회에서 임 장관 해임안을 통해 대북정책에 브레이크를 건 만큼 불필요한 오해를 피하기 위해서도 완급조절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책결정 과정에서의 투명성 제고와 여론수렴 과정의 강화방안 등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임 장관 사퇴에 따른 후유증 제거에도 발빠른 모습이다. 정부가 이번주 중으로 북한의 대화 재개 제의에 회신을 보내고 대화채널을 복원하기로 한 것도 이 때문이다. 불명예 퇴진한 임 장관의 대통령 특보 임명계획도 이같은 정부의 의지를 엿보게 하는 대목이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