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격감했던 후진국병 결핵이 IMF 경제난 이후 급증하고 있지만, 정부의 대책은 거꾸로 가고 있다.
특히 당국은 결핵 발생의 무방비 집단인 노숙자와 불법체류 외국인에 대한 감염 실태도 정확하게 파악않고 있어 일반인들의 전염 우려를 낳고 있다.
국립보건원에 따르면 국내 결핵환자는 지난 99년 2만1천여명에서 지난해 3만9천여명으로 두배 가까이 늘었고, 올 상반기만 2만3천여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노숙자의 경우 결핵 유소균자 발견율이 99년 3.4%에서 지난해엔 8.9%로 높아졌으며, 시설수용자의 결핵 유소균자 발견율도 지난해 12%로 97년부터 3년간 평균 발견율인 11.3%를 넘어섰다.
대한결핵협회 대구·경북지부 관계자는 "올 초 동대구역 등지의 노숙자 132명에 대해 건강검진을 실시한 결과 10여명이 결핵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이런 가운데 정부는 IMF이후 결핵관련 예산을 해마다 삭감하고 있으며 보건소에서 근무하는 결핵관리 간호사도 대폭 줄이는 등 결핵정책이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국립보건원에 따르면 지난 97년 57억여원이던 결핵관련 예산이 IMF직후인 98년에 39억여원으로 줄었으며 올해도 33억여원에 그쳐 97년에 비해 42%가 감소했다.
보건소의 결핵관리 간호사도 지난 97년 506명에서 지금은 283명으로 줄었다.
대구시내 8개 보건소의 경우 97년 13명이던 결핵관리 간호사가 지금은 10명만 근무하고 있다.
이에 대해 대한결핵협회 관계자는 "정부가 지난해 6월 결핵정보감시체계를 도입하고는 당연히 뒤따라야할 예산 및 인력 확충은 도외시하고 있다"며 "IMF이후 노숙자와 외국인 불법체류자 등 결핵발생위험집단이 해마다 증가하는 만큼 정부 대책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3월 국립보건원과 대한결핵협회는 우리나라의 결핵 사망률이 인구 10만명당 6.7명(미국 1명, 일본 3명)으로 OECD회원국중 가장 높았다고 발표했다.
정욱진기자 pencho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