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피랍 여객기 충돌 테러에 대한 응징이 임박한 가운데, 미국이 보복을 단행할 경우 참전 및 지원 여부를 놓고 세계 각국에서 논란이 불거져 나오고 있다.영국, 호주 등 미국의 맹방은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지만 태국 등 중립을 선포한 국가가 있는가 하면, 영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서유럽 국가처럼 애매한 태도를 취하는 국가들도 적지 않아 미국이 본격적인 응징에 나설 경우 이들 국가가 어떤 태도를 취할지 주목된다.먼저 영국은 14일에도 미국에 대한 지원을 재삼 확인했다. 특히 토니 블레어 총리는 이날 의회의 긴급 안건 토의에서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즉각적인 행동에 나서지 않는 것을 비판할 정도였다. 그는 "미국은 응징을 할 것이며 대량 살상무기인 화학·생물학무기는 물론 핵무기라도 사용할 것임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인도는 미국이 응징에 들어갈 경우 모든 작전 지원을 제공하기로 했다. 자스완트 싱 외무장관은 '타임스 오브 인디아'와의 회견에서 병참 및 영토 지원을 할 계획임을 밝혔다.익명을 요구한 한 관리는 모든 지원이라는 의미는 군사적, 정보적 지원을 포함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호주도 미국의 어떤 보복 응징도 적극 지원키로 결정했다. 존 하워드 총리는 미국 및 뉴질랜드와 함께 50년 전 결성한 앤저스(태평양안전보장조약기구) 협약 4조는 미국이 공격받으면 호주도 역시 공격받는 것으로 간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따라서 이 협약이 발동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은 미국이 응징에 나설 경우 가능한한 최대의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총리가 밝혔다. 고이즈미 총리는 그러나 헌법에 의거, 군대는 파병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아프가니스탄 인접국인 독립국가연합(CIS) 소속 중앙아시아의 투르크메니스탄도 미국에 대한 지원과 함께 참전도 불사하겠다고 밝혔다고 이타르타스통신이 전했으며, 마케도니아의 보리스 트라이코프스키 대통령도 "이 순간부터 우리는 모두 미국인"이라며 "미국민과 어깨를 나란히 하겠다"고 지원 의사를 표명했다.
반면 러시아는 미국의 보복은 지원할 수 있지만 지상군 공격에는 참전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세르게이 이바노프 국방장관은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의 군사작전이 옛 소련 공화국이었던 CIS 영토에서 이뤄지는 일은 결고 없을 것으로 본다며 CIS 국가들의 지원 가능성을 차단하고 나섰다. 아나톨리 크바슈닌 러시아군 참모총장은 "미국은 이번 임무를충분히 수행할 자체 군사력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독일은 헌법에 따라 의회의 승인이 필요해 지연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특히 독일 ZDF TV의 여론조사 결과, 독일군 참전에 대해 57%가 반대하고 37%만이 찬성한 것으로 나타나 정부의 대응이 주목된다.
미국의 나토 지배를 껄끄럽게 생각해 온 프랑스도 미국의 보복에 대해 조심스러운 태도를 취하고 있으며, 벨기에의 루이 미셸 외무장관도 "목표물을 공격하는데 미국이 현명한대응을 할 것으로 본다"고 중용을 취했다.
이런 분위기는 나토의 분위기에서도 잘 나타난다. 로드 로버트슨 나토 사무총장은 나토가 미국의 보복 공격에 맹목적으로 참여하지는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로버트슨 총장은"이번 테러 사태가 우리 모두에 대한 공격인 만큼 테러범들에 대해선 응분의 조치를 취해야 하지만 생각없는 복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영세중립국인 스위스의 모리츠 로이엔버거 대통령은 민주국가들의 단결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미국이 보복을 가할 경우 무고한 인명이 피해를 볼 수 있다고 우려하며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탁신 치나왓 태국 총리는 어떤 분쟁이 일어나더라도 중립을 지킬 것이라고 강조하고 미국에 대해 자제력을 갖고 대응할 것을 촉구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