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미 경기회복 2분기 지연"

미국의 경기회복이 테러참사로 인해 2분기 정도 늦어지는 것은 불가피하며 앞으로 보복 전쟁의 전개 양상에 따라 미국 및 세계경제의 침체가 장기화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이에 따라 미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를 포함해 아시아와 중남미국가가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경기진작을 위해 재정지출을 확대하고 금융완화 정책을써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국제금융센터(소장 김창록)는 20일 오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민관 합동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미 테러사태 이후 국제경제 동향 및 대응방안'을 보고했다.국제금융센터는 "과거 전쟁 발발이 실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전 여부와경기 여건에 따라 회복 속도가 다르게 나타났다"며 "걸프전의 경우 소비자기대지수가 회복되는데2분기가 걸렸고 생산자 심리지수는 3분기만에 회복됐다"고 말했다.

국제금융센터는 이날 보고서에서 미국의 보복 전쟁과 이에 따른 세계경제의 전망을 3개 시나리오로 나눠 제시했다.

보복 전쟁이 '단기 국지전'으로 끝날 경우 과거의 사례를 볼때 세계경제에 큰 영향은 없었으나 이번에는 경제여건이 취약해 부정적인 영향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전망했다.

미국의 경기회복이 2분기 정도 지연되고 주가와 달러화가 약세를 보이나 유가는 비유전지역에 국한되는 전쟁이기 때문에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장기 국지전'의 경우 소비.투자심리의 위축, 유가의 소폭 상승, 달러화 가치하락 및 유로화 가치상승, 신흥시장의 자금사정 악화 등이 빚어져 경기회복이 더욱 늦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국제금융센터는 '장기 전면전'으로 확대되면 유가 급등, 스태그플래이션, 증시의 장기적 침체, 달러화 가치의 급락, 유로 지역으로의 자금이동 가속화 및신흥시장의 자금유입 대폭 축소 등으로 전 세계가 동반 장기침체에 빠질 것으로 우려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