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출부진 미 경기 탓 아니다

올들어 우리나라의 수출 부진은 미국 경기 탓이라기보다는 상품구성과 경쟁력에 더 근본적인 문제가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24일 LG경제연구원은 수출규모의 변동을 결정하는 수출대상국의 시장점유율과 상품변화, 수출대상국의 총수입액변화 등 3개 요소를 분석해 볼 때 미국의 수입액감소보다는 우리 상품의 시장점유율 하락과 상품구성상의 문제가 더 큰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올 상반기 우리나라의 대미수출은 179억달러로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 5억8천만달러 줄어든 반면 미국의 올 상반기 수입규모는 경기부진에도 불구하고 0.6% 증가했다.

연구원은 따라서 만약 우리 제품의 시장점유율이 그대로 유지됐다면 대미수출액은 오히려 1억1천만달러 증가해야 했다며 대미수출감소의 주된 원인은 미국시장에서 한국상품의 시장점유율이 지난해 3.2%에서 올해 3.1%로 하락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 미국시장의 이같은 전반적인 수입증가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컴퓨터, 자동차등 우리나라의 7대 대미수출품목중 5개는 미국의 수입규모가 지난해에 비해 줄어든 상품이었다며 우리나라의 대미수출품목이 지나치게 경기의존적인 상품이라는 점도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반도체의 경우 올 상반기 대미수출액이 13억3천만달러 줄었으나 이중 6억9천만달러만이 미국의 반도체수입액 감소에 따른 것이며 나머지는 D램에만 치중된 우리나라 반도체산업의 취약성에 기인한 상품구성과 시장점유율의 문제였다고 연구원은 분석했다.

컴퓨터의 경우는 더욱 심각해 올 상반기 대미수출 감소액 5억5천만달러중 단 1억4천만달러만이 미국의 수입감소에 따른 것이며 4억1천만달러는 경쟁력저하로 대만, 멕시코, 홍콩 등에 시장점유율을 잠식당한데 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