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내열성 박테리아 단백질 구조 규명

서울대 화학과 서세원 교수팀은 광주과기원, 미국 로스알라모스 연구소와 공동으로 포항가속기연구소의 방사광가속기를 이용, 내열성 박테리아인 서모토가(thermotoga maritima) 균의정체상태 생존 단백질(SurE)의 3차원 구조를 구명하는데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포가 고온이나 영양 결핍과 같은 한계 상황에서 생존을 위해 분비하는 SurE(Stationary Phase Survival Protein, 정체상태 생존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밝혀낸 것으로,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고 있는 많은 단백질의 기능을 밝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이 연구는 인간유전자 지도인 게놈 해독과 함께 BT(생명공학)의 핵심 분야로 신약 개발에 직접 활용될 수 있어 미국·독일·일본 등의 공공 및 민간연구소에서는 방사광가속기를 활용한 연구 개발을 위해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다.

한편 이번 연구가 포항가속기연구소의 방사광가속기를 이용해 이뤄짐에 따라 국내 BT(생명공학) 분야 연구에 가속기가 핵심 시설임을 입증한 것으로 주목된다.

포항·정상호기자 falcon@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