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의 총재직 사퇴와 관련, 한나라당이 '수(手)읽기'에 들어갔다. 이회창 총재는 주요 당직자들에게 대외적으로 관련 발언을 가급적 자제해 줄 것을 당부했다. 총재직사퇴 발표 직후의 환영 분위기가 점차 정치권, 특히 자신들에게 미칠 역풍을 경계하는 쪽으로 선회하고 있는 셈이다.
사실 사안 자체에 대해선 한나라당이 총체적인 난국수습 차원에서 수차례나 요구해왔던 것이나 막상 현실화되자 DJ와의 새로운 관계설정, 민주당 내분사태의 향배, 내년 양대 선거에 미칠 파장 등을 놓고 고심하지 않을 수 없게 된 것이다.이같은 기류는 장광근 수석부대변인이 9일 논평을 통해 "김 대통령의 총재직 사퇴가 새로운 정치문화 창출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면서도 "그동안 대통령의 정치스타일로 볼 때 혹여복선이 깔린게 아닌가 의심하는 시각도 있다"고 밝힌 데서도 드러난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은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당 3역 간담회를 갖고 대책을 논의, "총재직 사퇴는 국정쇄신의 첫 걸음에 불과한 것"으로 규정하고 당.정.청의 대대적인 인사쇄신을 단행할 것을 거듭 촉구하고 나섰다.특히 "권력 재창출 방안으로 반 DJ 정서를 희석시키기 위해 전략적 선택을 한 것이라면 국민들의 거센 비난에 직면하게 될 것"이란 경고도 덧붙였다.
때문에 당내에선 "내년 대선을 겨냥한 DJ의 그랜드 플랜이 가시화되고 있다"는 시각도 있다.
또 김 대통령이 꺼내들지도 모를 중립내각 카드에 대해서도 속이 편치만은 않다. 한나라당은 여권의 각종 실정에 대해 덤터기를 쓸 수 있다는 등의 이유로 내각에 참여하지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지만 대통령이 민생.경제살리기에 초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동참을 요구할 경우 이를 거부할 명분이 마땅치 않은 것이다.
게다가 민주당의 대권.당권 경쟁이 가열화됨으로써 분당사태와 정계개편으로 이어질 경우 그 파장이 야당으로 확산돼 개혁신당 창당 등을 초래할 상황도 우려하지 않을 수없다.
서봉대기자 jinyoo@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