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민주 특대위구성 합의

◈대선 후보경쟁 힘겨루기

민주당이 전당대회 시기와 방법 등을 결정할 특별기구를 구성키로 한 것은 대선후보 경쟁이라는 '본게임'의 시작을 의미한다.

물론 전당대회 시기가 못박히고 대의원 구성 등의 문제가 매듭지어질 경우 대선게임은 시작되겠지만 특위 구성단계에서부터 대선주자들간의 힘겨루기는 본격화된다고 봐야 한다. 전당대회 시기와 방법이 어떤식으로 정해지느냐가 자신들의 유불리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이같은 분위기 탓에 9일 저녁 특위 구성 문제를 논의하는 당무회의 전부터 대선주자들간의 신경전은 극에 달했다. '반 이인제' 진영은 특위구성을 이인제 진영이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끌고가지나 않을까 하는 의문을 제기했다. 한화갑 상임고문은 측근을 당에 보내 "특위의 인적 구성은 공정해야 한다"며 쐐기를 박기도 했다.그러나 정작 '당발전 쇄신을 위한 특별대책위(특대위)' 구성안이 올라온 당무회의는 싱겁게 정리됐다. 당초 예상됐던 대선주자들간의 격돌도 없이 특대위 구성안을 통과시킨 것이다. 특대위의 성격을 자문기구로 규정했기 때문이다.

정세균 기조위원장이 기조발제에서 특대위는 전당대회 일정을 논의하고 최고위원 기능을 보완하며 비상권한을 갖는다고 했을 때만 해도 이의 제기가 강했다. 쇄신파인 천정배.이재정 의원 등은 "너무 엄청난 권한을 갖는다"고 반발했다.

그러나 정 위원장이 "특대위는 당무위원회의 자문기구가 될 것"이라고 하고 한광옥 대표도 공정한 인사를 약속하자 아무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결국 이날 회의는 자문기구 성격의 특위 구성을 한 대표에게 위임하는 선에서 매듭을 지었다.

하지만 이같은 결정이 당 내분의 진정을 의미하는 것으로는 볼 수 없다. 특대위가 당무회의 자문기구가 되면서 당무위원 끌어안기 작업이 본격화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격론의 장이 특대위가 아니라 당무회의로 옮겨진 것이므로 특대위 문제로 시끄러울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때문에 특대위의 인적구성을 특정 계파나 대선 주자에 치우치지 않은 중립적 인사로 할 경우 인적 구성의 문제도 싱겁게 끝날 가능성이 높다.

대신 자문기구인 특대위에서 전당대회 시기 등 민감한 정치현안을 협의하지 못할 경우 당무회의가 최종 의결권을 갖기 때문에 편가르기가 극심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99명의 당무위원 중 60% 이상이 당권파가 장악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반 이인제' 진영이나 쇄신파는 그만큼 불리할 수 밖에 없다. 때문에 민주당 사태의 조기 정상화를 기대하는 것은 아직 무리다. 본격적인 격돌은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것이 중론이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