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갱 판쳐도 은행은 무신경

전국 곳곳에서 금융기관 총기 강도사건이 고리를 물고 있으나 경찰과 금융기관의 방범대책은 겉돌고 있어 추가 범죄에 사실상 무방비상태로 노출돼 있다.

지역 금융기관과 경찰은 지난해 말 대구 기업은행 엽총 강도사건이후 자체 보안대책 강화와함께 잇단 관계자회의를 열어 방범대책을 점검하고 있다.

그러나 13일 본사 취재팀이 대구시내 금융기관 방범실태를 취재한 결과, 파출소 경찰 순찰은형식에 그치고 있고 금융기관 자체 방범대책 또한 실제 현장에선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오후 4시 대구시 서구 ㄷ은행 모 지점 경우 '무장경찰근무중'이라는 입구표지판과 달리 보안요원 역할을 하고있는 용역경비원 박모(40)씨는 고객 주차관리때문에 자리를 비우고 있었다.

박씨는 점심시간, 현금수송 등으로 하루 2시간이상 일반직원과 교대근무를 하고 주차관리, 고객안내, 동전교환 등의 잔 업무까지 맡고 있다.

박씨는 "은행지침에는 청원경찰 2명이 현금수송을 맡기로 돼 있지만 실제로는 용역경비원 1명과 직원 1명이 수송을 책임지고 있다"고 했다.

같은날 중구 한 신협 경우 청원경찰은 물론 CCTV도 없고 경비시스템이라곤 비상벨이 전부였다. 직원은 "CCTV 설치에 500만원이나 들어 설치를 미뤄오고 있다"고 말했다.

인근 한 금융기관은 무인카메라 5대를 설치했지만 노후돼 화면 판독이 어려울 뿐 아니라 청원경찰이아닌 용역업체 직원 1명이 경비를 도맡고 있었다.

기업은행 강도사건이후 금융기관들이 CCTV를 설치하겠다고 밝혔지만 중구 지역 경우 11개 금융기관이 아직 CCTV를 설치하지 않았다.

또 대구경찰청에 따르면 지역 960개 금융기관중 경비원이 근무하지 않는 곳은 전체의 59.6%인 572곳에 달했다.

중구지역 130개 금융기관 중 청원경찰을 채용한 곳은 19곳 뿐이고 서구지역은 95개 금융기관에 청원경찰은 2명이 고작이다. 이같이 청원경찰 채용이 적은 것은 인건비를 부담을 덜기위해 대부분 금융기관들이 월급이 청원경찰의 60%수준인 용역경비원으로 대체한 때문이다.

그러나 용역경비원은 권총을 휴대할 수 없고 검문.검색 업무도 할 수 없다.또 경찰은 금융기관마다 시간당 2회 순찰을 실시토록 했지만 이날 오후 1시부터 4시까지 중.서구 지역 금융기관 10여곳에는 방범활동을 나온 순찰차를 거의 찾아 볼수 없었다.

대구지방경찰청은 최근 파출소별로 4~5개 금융기관을 묶어 권역별 순찰을 지시했지만 인력부족으로 순찰이 어려운 실정이다.

중부서 관내 한 파출소 관계자는 "관할 금융기관이 25곳이나 돼 4명의 직원과 1대의 순찰차로는 제대로된 순찰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경찰 관계자는 "은행강도 등에 대비 각종 보험에 가입한 금융기관들이 자체방범을 게을리하고 있고 경찰도현재의 인력과 방범시스템으로는 은행강도를 막는데 솔직히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이상준기자 all4you@imaeil.com

최두성기자 dscho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