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내분사태와 관련, 부총재단이 25일 일괄 사퇴를 결의함에 따라 곧이어 나올 것으로 보이는 이회창 총재의 후속 수습책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 총재는 이번 주 중 이를 공식 발표할 계획이나 그 내용이 비주류와 개혁.소장파들의 반발을 무마시킬 수 있을 지는 장담하기 어려운 분위기이다.
현재로서는 총재단 해체에 따른 비상대책기구 구성을 골자로 한 수습책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부총재단의 일괄 사퇴 수순에 따른 수습책인 것이다.
이 안은 비상대책위에 당 중진을 위원장으로 임명함으로써 당 3역 등과 함께 5월 전당대회때까지 당을 이끌어간다는 것이다.
또한 이 총재는 후속 수습책 발표와 함께 대선후보 출마를 공식 선언한 뒤 총재권한대행을 임명함으로써 당무일선에서 후퇴한다는 내용이다.
총재권한대행은 비대위원장을 겸임하는 식으로 가닥이 잡히고 있으며 위원장으로 김용환 국가혁신위원장이나 박관용 선준위원장, 서청원 의원, 이환의 부총재 등이 거론되고 있다. 비대위는 주류와 비주류, 개혁.소장파 인사들을망라하는 식으로 운영한다는 것이다.
일단 소장파들의 정풍운동에 힘을 실어준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으나 비대위의 권한을 어디까지로 규정할 지가 또 다른 문제다.
남경필 대변인은 "당헌.당규에 없는 새로운 기구가 아니라 총재단을 가름하게 될 것"이라고 선을 그었으나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개혁.소장파 측은 집단지도체제 조기도입과 이 총재의 총재경선 불출마를 통한 당권.대권 분리 등도 논의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반발하고 있으나 이 총재측은 수용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측근정치 청산과 관련해선, 이 총재가 하순봉 부총재의 사퇴에 이어 양정규 부총재와 김기배 전 사무총장 등에 대해서도 5월 전대의 부총재 경선 불출마를 설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미래연대 측은 이들 외에도 구 민정계출신 인사들까지 포함돼야 한다는 쪽으로 이 총재 측을 계속 압박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이들의 추가 행동 여부는 이 총재의 수습책이 나온 뒤에야 결정이 날 전망이다.
서봉대기자 jinyoo@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