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제 후보가 '음모론'에 대한 확신을 주장하면서도 하룻 밤사이에 경선 참여로 급선회한 것은 경선불복에 대한 부담감을 떨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97년 한나라당 경선에 이어 이번에 다시 경선 불복을 할 경우에 쏟아질 국민적 비난과 국민경선제 무산에 대한 당안팎의 반발이 그의 발목을 잡은 것이다.
김중권 고문의 후보사퇴 뒤 26일 저녁까지도 '후보사퇴 후 당내투쟁 또는 탈당' 이라는 초강수에 기울었던 이 후보는 측근의원들의 거듭된 건의를 받아들여 경선참여를 결정했다.
측근들은 대책회의를 통해 이번에 다시 경선에 불복할 경우 당내입지는 물론 이후보의 정치생명마저 위협받는 상황이 올 것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국민 경선제를 망칠 수는 없으며 최악의 상황을 맞더라도 끝까지 가자"고 건의를 했고, 이 후보도 결국 이를 수긍한 것으로 알려지고있다.
경선후보를 사퇴하고 당내투쟁을 하다가 지방선거 뒤의 정치적 환경 변화를 기다린다는 방안 역시 향후 정치적 상황이 불투명하다는 점 때문에 선택하지못했다. 경선에 불복할 경우 당장 당내에서 그의 입지가 극도로 위축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아직까지 경선과정에서 이기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끝까지 가보자는 주장도 적지 않았다.
하지만 남은 경선 일정이 순탄하게 진행될 것 같지는 않다. 이 후보가 청와대의 개입설 등 이른바 '음모론'을 끊임없이 제기하고 있는데다 노 후보의 급진성을 거론하면서 색깔론 공세 등 흠집내기를 강력하게 시도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이 후보의 한 측근은 "이 후보는 당의 좌경화를 막기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 고민 중"이라고 전했다.
이는 이 후보측이 앞으로 노 후보의 이념적 급진성을 공격하겠다는 전략을 구사하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이 후보의 다른 측근은 "우리는 당이 중도개혁노선을 유지하기 위해 어떤 일을 할 수 있는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도 이 후보는 "유력주자가 잇따라 사퇴하고, 어떤 후보의 입에서 '후보가 되더라도 기득권을 포기하고 정계개편을 추진하겠다'는 상식밖의 주장까지 제기되는 것은 외부의 힘이 작용하는 듯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며 거듭 음모론을 제기했다. 경선의 공정성에 의문을 거듭 제기해 불리하게 돌아가고 있는 경선 이후를 대비하려는 시도들이다.
이 후보의 경선참여 선회로 민주당 경선은 좌초 위기에서 벗어났으나 경선의 열기는 이미 식어버렸으며 국민적 관심 또한 줄고 있다.
서명수기자 diderot@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