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이회창 총재가 26일 총재직 폐지 및 대선전 집단지도체제 도입을 제시한 것은 당내 비주류 반발과 민주당 노무현 후보 '돌풍', 호화빌라 파문 등 대선을 앞두고 벌어지고 있는 당 안팎의 상황을 위기로 간주, 조기에 반전시켜야 한다는 절박감의 발로다.
그러나 이같은 수습책은 이번 전당대회의 최고위원 경선에서 당 중진들간 당권경쟁을 과열시킴으로써 향후대선 체제를 이끌어가는 과정에서 또 다른 내부균열을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어 이를 어떻게 극복해나갈 수 있을것인지가 새로운 과제로 등장했다.
이 총재의 추가 수습책은 대선후보 출마를 위해 총재직 등 모든 기득권을 포기하겠다는 것인 만큼 초강도의 조치인 셈이다. 특히 집단지도체제 도입은 민주당에 뒤이은 것으로, 1인 보스중심의 정당체제를 민주화시킨 것으로 평가받을 만한 것이다.
또한 지난 19일 1차 수습안 발표이후 불과 1주일만에 단행된 것으로 그만큼 정치상황이 한나라당과 이 총재를 수세국면으로 몰아넣고 있다는 점을 방증하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이 총재도 "지난번 수습안 발표에 대해 당내 몇명의 반발에 그쳤다면 큰 문제가 아니었지만 당밖에서 까지 자기를 버리지 못하고 집착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등의 여론이 매서웠다"고 심경을 토로했다.
결국 이 총재로선 당내 비주류와 개혁.소장파들을 포용하는 데 주력함으로써 대선 승리를 위해 승부수를 던진것으로 볼 수있다. 실제로 비주류 등도 이번 조치를 일제히 환영하고 나섰다.
정풍운동을 주도했던 미래연대는 "당내 민주화와 화합을 위한 획기적인 결단"이라고 평가했으며 탈당을 시사해왔던 김덕룡, 홍사덕 의원 측에서도 이번 조치를 수용해 잔류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포용의 의지는 총재단을 대체할 '당의 화합과 발전을 위한 특별위'의 위원 면면에서도 드러나 있다. 초선에서 다선까지 망라한데다 비주류 인사들도 포함시켰으며, 대구.경북권의 경우 박헌기 의원을 임명하는 등 지역별안배에도 신경을 썼다. 특히 위원장에 부산 출신의 박관용 의원을 앉힌 것은 노 고문 바람에 제동을 걸겠다는 계산일 수 있다.
그러나 이번 조치에 대해 주류 측 일부 의원들이 계속 반발하고 있는 등 앞으로 당헌.당규를 개정하기 위한 당무회의와 중앙위 논의과정에서 논란을 초래할 수있다. 또한 이 총재가 측근정치 청산이란 요구에 대해선 원론적인 언급에 그침으로써 특히 5월 전대에서의 최고위원 경선이 과열될 경우 '이심(李心)' 논란이 재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게다가 수습안 매듭과정에서 보듯 향후 당내 현안들을 둘러싼 논쟁과정에서 비주류의 목소리가 더욱 거세질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서봉대기자 jinyoo@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