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다음 온라인우표제 본격 시행

우리나라 최대 포털업체 중 하나인 (주)다음커뮤니케이션(이하 다음)이 이달 1일부터 온라인우표제를 본격 시행, 대량발송 e메일에 대해 요금을 부과하게 됨에 따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다음이 '요금부과'를 핵심으로 한 온라인우표제를 강행하는 명분은 스팸메일 방지. 1천통 이상의 대량메일 발신자는 온라인우표숍에 실명으로 IP(인터넷주소)를 등록한 뒤 메일을 보내고, 이를 수신한 네티즌은 메일의 내용을 판단해 꼬리말에 달린 '정보성' 또는 '상업성'을 선택하게 된다.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네티즌들에게는 포인트를 제공한다.

다음은 네티즌의 판단에 따라 메일의 '정보성'과 '상업성'을 따져 한 건당 0~10원씩 부과한다는 방침이다.그러나 다음의 전략은 스팸메일 방지보다는 '수익성'을 높이기 위한 편법이라는 반론이 만만치 않다.

다음과 달리 '네이버'의 NHN은 성인물, 불법CD, 다단계판매 등 악성 스팸메일을 보내는 스펨메일러들은 고정된 IP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판단, 일반기업들이 IP를 등록하고 대량메일을 보내는 것에 대해서는 과금 등 규제를 하지 않을 방침이다.

다음의 자충수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e메일은 포털의 백본(Back Bone) 서비스인 만큼 이를 기반으로 인터넷 광고나 전자상거래 등 간접 수익모델을 개발, 수익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한데 백본서비스 자체를 유료화한다는 것은 다음 사이트를 외면하게 만들 수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다음의 온라인우표제를 반대하는 인터넷 업체들은 회원들을 대상으로 다음의 한메일 계정을 사용할 경우 뉴스레터나입금확인, 취업정보 등 주요 메일을 받지 못할 것이라고 통보하고 한메일을 다른 메일로 바꾸는 캠페인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다.

대표적 게임사이트 '넥슨'의 경우 지난해 10월 다음의 온라인우표제 시행 계획 발표 직후 곧바로 메일주소 바꾸기 운동에 돌입, 200만 회원의 70%를 차지하던 한메일 사용자를 대부분 다른 메일로 옮겨가게 했다.

또 취업정보사이트 인크루트, 한빛소프트, 대한항공, 맥스무비 등 회원 수백만을 가진 대형사이트들과 문화관광부까지 한메일 사용자들에게 메일 주소를 바꾸라는 공지를 내보냈다.

e메일자유모임을 비롯한 네티즌들은 "다음의 e메일 요금부과는 사이버공간에서의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가로막을 위험이 있다"며 "한메일계정 바꾸기 운동에 동참한 인터넷 업체는 모두 100여곳을 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석민기자 sukmin@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