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동해남부해역 먹이사슬 불균형

국립수산과학원이 한·중 잠정조치수역 등 황해와 남해의 배타적 경제수역(EEZ)에 대한 어업자원 조사결과 어린 물고기들이 많이 서식하고 있어 남획방지 등 어자원의 과학적 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산과학원이 지난달 7일부터 20일동안 시험조사선을 이용, EEZ내 어업자원 분포와 밀도를 조사한 결과 황해 남부해역의 멸치 월동장은 9, 10℃ 수온을 중심으로 300~30m 수층에서 형성됐으며 자원량은 미미했다. 그러나 50~60m 수층에서는 갈치와 참조기, 덕대 등의 어린 물고기가 낮은 밀도의 띠를 형성하고 있었고 10~13℃에서 출현하는 어종이 30여종으로 증가, 한·중 잠정조치수역 등 황해의 EEZ가 주요 어자원의 성육장으로 중요한 해역임이 입증됐다.

또 남해안의 경우 전해역에 걸쳐 수심 30~70m층에 갈치 새끼(몸길이 10㎝안팎)들이 광범위하게 분포, 향후 효율적인 관리가 이뤄진다면 갈치자원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고등어는 제주도 부근에서 나타났으나 분포밀도는 낮았다.

동해남부 해역에서는 수심 75~150m층에 오징어 등 주요 자원의 먹이가 되는 반디 오징어 및 앨퉁이의 어군이 높은 밀도로 분포한 반면 먹이사슬의 상위 포식자에 해당하는 기존 주요 어자원은 낮은 밀도를 보여 자원감소를 반영했다.

수산과학원은 "이번 조사결과 남해안 및 한·중 잠정조치수역인 황해와 동중국해의 월동장에는 새끼 물고기가 주로 분포하고 있어 새끼 물고기의 어획을 자제하는 등 보호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됐다"고 밝혔다.

부산·이상원기자 seagull@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