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본선진출국의 훈련캠프 유치에 피땀을 쏟았던 일본의 지방자치단체들이 '제살깎기'란 지적 속에 재정부담 가중 등 과열경쟁으로 인한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다.
훈련캠프를 유치해 국제 지명도를 높이고 경제효과도 거두려는 이들 지자체의 속셈이 예산을 초과한 유치활동비에다 안전대책, 선수단 체재 등에 따른 추가부담 요인이 발생하면서 벌써 부작용이 생겨나고 있는 것이다.
8일 요미우리(讀賣)신문에 따르면 2002 월드컵축구대회 본선에 오른 32개팀 중 23개팀이 일본내 26개 도시에 훈련캠프를 차리며 이들 팀을 위한 비용은 총 31억6천만엔, 도시당 평균 1억2천만엔인 것으로 밝혀졌다.
후쿠이(福井)현 미쿠니(三國)쵸(町)는 3억4천700만엔으로 가장 많은 돈을 쓰고 미야자키(宮崎)시 3억300만엔, 나가노(長野)현 마쓰모토(松本)시 2억400만엔 등 모두 13곳에서 1억엔 이상의 비용을 지출할 것으로 보인다.
민간이 유치한 두 곳을 제외하면 5천만엔 이하는 오이타(大分)현 나카쓰에(中津江) 한 곳밖에 없는 실정이다.
평균 비용 내역을 보면 캠프유치 전 활동비(2천400만엔)보다 이후의 경비(9천700만엔)가 훨씬 더 많은데, 이는 지자체가 안전비용에다 팀 체재비까지 떠맡기 때문한국과는 달리 일본은 캠프 선정을 지자체들의 자유경쟁에 맡겼고 제살깎기식 경쟁으로 유치비용과 재정부담이 늘어났다.
잉글랜드 캠프에 들어가는 최소 비용 8천500만엔 중 4천500만엔을 모금에 의존하는 효고(兵庫)현 쓰나(津名)쵸의 경우 최근 몇 달동안 기업과 여관을 돌며 모금활동을 벌였으나 별다른 효과가 없자 유명 관광상품인 '1억엔짜리 금괴' 처분을 검토하고 나설 정도다.
또한 국제축구연맹(FIFA)이 이번 월드컵부터 안전과 스폰서 보호를 이유로 선수 노출과 광고를 제한하는 등 팀 훈련에 대한 규정을 엄격히 적용, 수익 사업을 하려는 지자체들의 계획에 제동을 걸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