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3대 도시 탈락은 시민들에게 위기의식으로 다가온다. 문제는 규모면에서 더이상 대구가 경쟁도시인 인천이나 부산을 능가할 수 없다는 데 있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질적인 측면에서 대구의 발전 전략을 모색해야 할 때라는 데 입을 모은다.
이정인 대구경북개발연구원 지역연구실장은 지식기반적 분위기가 강한 도시로 면모를 바꾸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진단한다. 삶의 질을 높이면 사람이 모여들고 자연히 자본과 기술은 따라오기 마련이라는 설명이다.
이는 대구 혼자만으로는 불가능하다. 대구·경북이 동일체 인식을 갖고 공동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이 실장은 "대학을 중심으로 대구의 강점인 인적 자원을 결집해 나가고 투자를 늘리면 연구력이 향상되고 고급두뇌가 지역을 찾으면서 기업들이 모여드는 현상이 나타난다"며 "인내를 갖고 지역민들이 기반을 확충해 나가려는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지방을 살리려는 중앙정부의 지원이 따라야 한다. 수도권에 집중된 권한을 지방에 나누는 분권 운동이 필요한 까닭이 여기에 있다.
김형기 대구사회연구소 소장은 "지방분권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가장 위축되는 지역이 대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재원분산·중앙정부권한 지방이양을 골자로 한 지방분권특별법이 제정되고 현재 국회에 계류중인 지방대육성 특별법이 통과돼야 한다는 주장을 편다.
지역에서 키운 인재는 지역에서 활용해야 하는데 지금처럼 대부분 외지로 빠져나가서는 지역 발전이 이뤄지기 어렵다는 것. 특히 대학들의 경우 우수 인재 확보가 안되면 존립의 문제가 발생한다. 대학이 버텨주지 못하면 고급인력육성이 장점인 대구의 경쟁력이 사라져 버린다는 데 심각성이 있다.
임경호 대구상의 조사부장은 '대안산업의 집중 육성'을 시급한 과제로 제기했다. 부가가치가 낮은 섬유, 자동차부품이 주종인 산업구조로는 다른 도시와의 경쟁은 커녕 생존조차 불투명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정보기술(IT)·바이오기술(BT)·나노산업 등에 대한 집중 투자가 필요하다는 것.
지역 출신의 해외 맨파워들의 현황을 파악하고 범지역적 차원에서 지역 대학·기업들과 짝짓기를 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임 부장은 "대형 국제행사를 유치하는 전시·컨벤션산업도 대구가 활로를 모색하는 데 빠뜨릴 수 없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최정암기자 jeongam@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